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665)
품질경영과 공정관리 품질경영 시스템을 다시본다... 무언가.... 1.고객만족과 지속적 개선.........이게 핵심이다.. 2,고객만족의 방법은... -공정에 있다.........공정관리다..... -공정의 수준 향상 말고는 무엇이 있는가? -나머지는 모두가 이의 지원이 아닌가........... -공정관리는 무엇인가.....예방과 검출이다.... -예방은 4m의 변동 관리다 -공정의 변동(산포)에 대한 관리다. -검출은 측정장비와 검사의 관리다. -검출된 부적합은 유출되지 않도록 한다 3.지속적인 개선을 위해서는 -공정관리 수준의 향상이다... -현재의 공정관리는 관리계획서에 있다 -이게 표준이다 -이 표준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방법은 측정하고 분석하고 개선하는 것이다 -물론 측정의 대상은 제품과 공정이다 -재발방지의..
조립라인 구성방법의 검토 현재 지도하고 있는 어느 회사에서 조립라인에 대한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 요구수량이 늘어나고 있어 라인의 C/T를 더 줄이고 사람을 더 추가하고 컨베이어 라인의 길이를 더 길게 하고......하는 것이 현재 생산팀의 의견이다.... 예상되는 문제는 현재도 C/T가 20초이하인데.....더 짧아진다면 .....이건 문제다.... 다시한번 정리해보자... 라인의 형태가 중요 한것이 아니다 1.핵심은 공정에 있다 2.작업자의 움직임을 잘 분류해보자..... 3.여기서 부가가치 움직임과 비부가가치 움직임을 구분하는 것이다. 4.핵심중의 핵심은 부가가치 움직임의 비율을 높이는 것이다. 5.현재 작업자의 움직임을 보면 1) 제품을 기다린다 2) 제품을 앞으로 당긴다 3) 부품을 집는다 4) 부..
OCAP에 대해.. 오랜만에 올라온 SPC에 대한 좋은 질문입니다... 질문에 감사 드립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궁금한 사항이 있어 문의 드립니다. OCAP관련된 사항인데요.. 고객사 특히 해외고객사에서 OCAP에 대한 수립에 대해서 지속적인 요청으로 작성을 하고 있습니다. 1. OCAP 작성의 대상은 SPC관리 항목에 국한 된 것인가요? 해당 공정의 중요 Defect Mode 및 고객 Issue사항에 대해서도 일반적으로 OCAP 를 작성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2. 아울러, OCAP에 따른 시정조치 시점이 OOC(Out of Control)인지, OOS(Out of Spec)인지, 모두의 경우 사용가능한 것인지. 궁금합니다. 3. 또, OCAP의 사용주체는 Operator 인지 Eng`r인지 도 궁금 합니다. 바..
IMF 와 한국경제 라구람 라잔(Raghuram Rajan)이라는 경제학자가 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인도인이다. 신자유주의 경제학의 아성인 미국 시카고 대학 경영대학원에서 금융 경제학을 가르친다. 2003년부터 2006년 사이에 국제통화기금(IMF)의 수석이코노미스트로 일했으며, 2003년에는 미국금융협회가 40세 이하 금융 경제학자 중 최고의 석학에게 수여하는 피셔 블랙 상의 첫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경제학 책이 아름답다? 본래 금융 또는 재무 전공자 사이에서나 이름이 언급되던, 똑똑한 하지만 한계가 명백한 경제학자로 여겨지던 라잔은 이 책 으로 일거에 세계적인 경제학자로 자리매김했다. 영국의 는 그를 2008년 세계 경제 위기 이래 영향력 있는 여러 경제학자 중에서 최고로 꼽았다. 라잔이 취하는 중도적 입장에 대..
QSB 하면서 수고많아요.... 여러가지 해야 할일은 많지만 잘 정리되어 간다면 많은 보람도 있을 것 같아요. ....... QSB 팀들이 해야 할일은... 1.목적:1.현장의 품질인식을 강화 시킨다 2.중요불량(특히 고객유출 불량, 미국 중요불량)의 후공정 유출을 차단한다. 우선은 이것에 중점을 두면 좋겠습니다. 물론 유출울 차단하는 것은 발생을 없애는 것과 검사를 잘하는 것인데.... 당장 모든 발생을 없애는 것은 매우 어렵겠지요....할 수있으면 당연히 해야 하고요...... 2.목표관리 현재하고 있는 관계사별로 삼각형 Q 로 하는 것이 좋습니다. 억지로 라인별로 만들고 할 필요는 각 팀에 맡기는 것도 좋고요. 경영층에 매일 보고된다는 것만 관리해도 충분히 자극은 될 것 같네요. 그리고 사내 전산망에서 다 같이 ..
2011년 7월 27일 오전 08:16 앞서말한 빠른 대응력과 공정 품질보증의 수준은 표준화가 관건이다. 표준화가 되어있지 많으면 빠를 수는 있겠지만 결코 품질의 보증이 어렵다....어떤 식당이 속도와 품질을 만드는가? 라면은 빠르고 정확하다. 하지만 국수는 느릴 수 밖에 없다... 표준화의 수준이다..
2011년 7월 27일 오전 08:02 시스템에는 level이 있다. 이 level 에 맞게 준비하는 것이 목적을 살려서 할 수 있도록 한다. 1단계 level은 COP 다...예를 들면 1차는 검사P라면 2차는 검사기준의 신뢰성과 검사구의 신뢰성, 검사행위의 신뢰성확보를 위한 프로세스가 필요하다. 감사기준이 신뢰성을 가질려면 제품의 위험성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
2011년 7월 22일 오후 12:13 소기업의 경쟁력 요소는 빠른 대응력과 공정 에서의 품질보증력이 기본적인 요구사항이다...이를 위해 현장에서의 자주관리와 문제발생시 현장에서 빠르게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된다.....수준의 향상을 위해서는 아주 단순한 시스템 혹은 몇개의 프로세스가 필요 할 것이고 이는 현장의 자주관리능력을 높이는 쪽으로 정보를 제공 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