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665) 썸네일형 리스트형 QMS 정보화 시스템(Digital QMS) 필요성 최근 자동차 산업으로부터, 반도체등 고도의 품질수준이 요구되는 산업을 중심으로 QMS를 비롯한 정보화에 관심을 가지고 전산화 구축을 진행하고 있으나, 만족할 만한 성과를 내지 못하는 실정이며, 또한 요구되는 시스템을 다양한 정보화 업체에 의해 구축하고, 재 구축이라는 실패를 반복하는 우를 범하고 있는 경우가 너무나 많은 것이 현실인 것 같다. 특히 ERP, MEA, PLM, G.W를 이용하여 품질정보 시스템을 구축하는 경우가 더욱 그러하다. 품질경영정보화 시스템(Dital QMS)을 도입하여 성공적으로 활용하기는 쉬운 일이 아님은 분명하다. 특히 정보화라고 하는 것은 기업이 가지고 있는 시스템을 바탕으로 표준화되는 것인데, 문제는 현재 우리가 가지고 활용하고 있는 시스템의 수준을 표준화하여 업무에 적용할.. 공정관리를 위한 SPC의 이해 1. 모든 품질의 문제는 산포에 기인함 - 현장의 공정에서 수집되는 모든 항목의 DATA는 변화되는 상태로 수집되고 있으며 이를 산포라고 함 - 특히 제품특성의 산포의 크기에 따라 양품, 불량으로 구분됨 - 따라서 우리 제품의 산포의 크기를 평가할 수 있어야 함 - 2. 산포의 통계적 평가 없는 원인 추구는 잘못된 결과를 낳게 됨 - 산포의 감소를 위해서는 원인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며 산포의 원인은 공정 구성요소인 4M의 변동에 기인함 - 매시간 4M은 계속적으로 크게 혹은 작게 변동하고 있으며 좋은 제품을 위해서는 이러한 4M의 변동(특히 설비조건, 자재성격, 측정오류)을 최소화해야 하나 실제 공정에서 4M의 유의한 변동을 실시간으로 구분하고 확인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것으로 공정관리에 의한 품질향상을.. SPC에서 비 정규분포 Data 처리방안 비정규 분포 Data의 정규화 방안에 대한 의견 1. Boxcox에 의한 정규화의 의미 - Cox 박사가 개발한 비정규 분포를 정규분포로 전환하는 통계적 logic 임 - Data 분포가 왜도로 인해 분포의 치우침이 나타났을 때 Data의 정규화(Normalizing) 하는 방법임 - 이는 Data의 치수에 의한 분포가 아니고 분포확률을 기준으로 하여 정규화하는 것으로서 예를 든다면 수능시험에서 학생들의 점수를 정규분포화 하여 시험결과의 등급을 정하는 것과 같은 이론임 (실제 시험점수는 95점이나 정규분포화 했을 때 120점으로 계산되는 것으로 이는 실제 Data분포의 형태에 따라 재조정되는 값임) 2. SPC에 있어 사용의 필요성 - 기본적으로 SPC는 Data가 정규분포 한다는 가정하에서 통계적 계산.. 양산관리의 협력사로 부터 입고되는 부품의 품질보증은... 수입검사 DATA 통계처리의 필요성 현재 대부분 회사의 수입검사 DATA 처리현상은 1. 일반적으로 협력사에서 출하검사를 하고 모사가 입고검사를 통해 부품의 품질을 검증하고 있음 2. 하지만 전부 샘플검사로서 품질보증은 기본적으로 불가능 한 것임 3. 부품개발시 양산승인 조건으로 초기공정능력 Ppk 1.67이상이 되어야 샘플검사를 허용하고 있으며 만약 미달 시에는 전수검사가 되어야 승인이 가능함 4. 하지만 대분분의 양산승인과정의 data는 통계적 합리성을 가지지 못한 상태의 Data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음 5. 결론적으로 검사를 했기 때문에 해당 LOT를 양품으로 처리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불량이 포함되어 입고되고 있는 것임 개선방안 1. 대부분 기업에서 DATA의 통계적 분석을 위한 도구를 갖추고 있지.. 심심한 사회 일 많이 하는 한국 직장인들이 잃는 것 중의 하나가 심심해질 수 있는 여유다. 기계가 사람과 다른 점의 하나는 심심해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기계는 스위치가 꺼져 작동이 멈추기는 해도 심심해하지는 못한다. 경쟁이 강화된 사회는 사람들을 생산성에 의하여 판단하기에 바쁘게 일하는 가치만을 강조한다. 심심해질 수 있는 여유가 없는 사회는 어떤 사회일까? 돈을 많이 벌어 행복한 사회일까? 아니면 자신을 잃은 삶을 살아가는 기계로 가득한 사회일 것인가. 창조적인 프로그램을 만드는 사람들로 가득한 사회일 것인가, 아니면 주어진 프로그램을 따르기만 하는 사람들로 가득한 사회일 것인가. 한국 사회에는 '글로벌 리더' 또는 "글로벌 경쟁력 강화"가 되어야 한다는 강박 관념이 조성되어 있다. 이러한 강박감은 구성원들에게 강.. 내부고발 포상10억...퍼온글 “주인의식이 없이 회사 자산을 낭비하는 행위, 기준과 표준을 무시한 업무처리, 관리·감독 소홀, ‘이 정도는 괜찮겠지’ 하는 무사안일주의 등은 반드시 추방해야 합니다” 포스코가 윤리규범을 선포한지 8주년이 되는 지난 2일, 정준양 포스코 회장은 사원들에게 회사에 손해를 끼칠 정도의 비윤리적 행위에 대해 더이상 간과하지 않겠다는 강한 메시지를 전했다. 아무리 전사(全社)적으로 경영 효율화를 위한 노력을 강화한다 해도 해사(害社) 행위를 하는 몇몇 직원들이 있으면 그 노력은 모두 수포로 돌아가기 때문이다. 상법상 각 회사마다 1명 이상의 감사를 두는 감사 시스템이 존재하고, 내부 고발자 포상제도를 운영하고 있지만 이 같은 직원을 색출하는 것은 기업 경영자 입장에서는 쉽지 않은 일이다. 이에따라 포스코는 이날.. 현대차의 미국 수입차 1위 1998년 10월 30일 밤 11시. 미국 CBS방송의 코미디 토크쇼인 '데이비드 레터맨 쇼'에서 진행자인 데이비드 레터맨은 "우주에서 장난칠 수 있는 것 10가지가 무엇일까"라는 문제를 냈다. 10가지 답변 중 하나가 "우주선 계기반에 현대차 로고를 붙여라"였다. 우주비행사가 고장 잘 나는 현대차 로고를 보고 지구로 귀환하지 못할 수도 있겠다고 깜짝 놀라게 만들 수 있다는 것이었다. 현대차는 미국 시장에서 조롱의 대상이었다. 1986년 미국에 처음 수출된 엑셀에는 '일회용 차', '붙어 있는 건 다 떨어지는 차'라는 별명이 붙었다. 미국 언론은 현대(Hyundai)의 영문 이니셜에 빗대 '값이 싸면서도 운전할 수 있는 차는 없다는 걸 당신이 이해해주기 바란다(Hope You Understand Noth.. 품질만들기 원칙1(불량은 만들지 않는다) ... 품질을 만들기 위해 기업에서 해야 할일이 무엇인지 정리를 해본다.. 매일 매일을 품질을 만들기 위하여 노심초사 하면서 여러가지 활동을 하는 모습을 많이 보지만 중요한 것은 절대적 가치라고 할 수 있는 원칙이 아쉽다. 이 원칙들이 기업의 품질을 만드는 데 가장 중요한 사상으로 정리 될 수 없을까...ㅎㅎ... 혼자만의 욕심인가.... 원칙1.....불량을 만들지 않는다... 이것을 불량 예방의 원칙이라고 한다... 불량은 왜 발생하는가? 불량의 발생은 산포의 문제다......특히 공정에서의 산포관리다.... 공정에서의 산포는 왜 발생하는가?...... 공정의 구성요소인 4M이 변동하기 때문 아닌가....................... 그리고 이 4M의 변동은 항상 발생될 수 밖에 없다고 하는 것.. 이전 1 ··· 30 31 32 33 34 35 36 ··· 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