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품질을 만들기 위해 기업에서 해야 할일이 무엇인지 정리를 해본다..
매일 매일을 품질을 만들기 위하여 노심초사 하면서 여러가지 활동을 하는 모습을
많이 보지만 중요한 것은 절대적 가치라고 할 수 있는 원칙이 아쉽다.
이 원칙들이 기업의 품질을 만드는 데 가장 중요한 사상으로 정리 될 수 없을까...ㅎㅎ...
혼자만의 욕심인가....
원칙1.....불량을 만들지 않는다...
이것을 불량 예방의 원칙이라고 한다...
불량은 왜 발생하는가?
불량의 발생은 산포의 문제다......특히 공정에서의 산포관리다....
공정에서의 산포는 왜 발생하는가?......
공정의 구성요소인 4M이 변동하기 때문 아닌가.......................
그리고 이 4M의 변동은 항상 발생될 수 밖에 없다고 하는 것도 자연의 이치다.....
그러면 우리가 해야 할일은 발생 할 수 밖에 없는 변동을 예방하든지...
아니면 변동의 크기를 적게 만들어야 한다........
이일을 하는 데도 좀의 생각이 필요하다.
4M의 변동중에는 이미 알고 있는 그래서 관리방법이 결정되어 있는 원인요소의 변동과
원인요소가 무엇인지 몰라 관리방법이 규정되어있지 않는 원인 두가지로 구분된다.
여기에서 관리방법이 결정되어 있는 원인에 의해 불량이 발생 했을 때...우리는 실수했다고 한다.
그리고 이 실수의 품질은 모집단의 중심을 움직인다....X바의 변동으로 나타난다.
원인을 모르는 불량이 발생했을 때 우리는 실력이 그것 밖에 되지 않는다고 한다.
그리고 이 원인에 의한 변동은 고유산포(표준편차)로 나타난다.
불량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이 실수의 문제와 실력의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느냐 이다.
사람도 그렇다 성격에 따라 실수가 많은 사람과 적은 사람으로 구분 할 수 있듯이.....
우선은 원인을 알고 있는 실수 문제를 해결해 나가야 한다....실수를 하지 않도록....
우선의 해결방법은 항상 신경을 쓰도록 해야 한다.
그래서 품질만드는 모든 사람에게 습관적 형태로 나타나야 한다.
이것이 종업원 참여다....이를 위해 모든 공정을 자주관리 상태로 만들어야 한다.
다시말해 공정을 작업자 통제가능 상태로 두는 것을 말한다.
만일 통제가 되지 않았으 때 공정은 유의한 4M의 변동이 발생했다고 하는 것이다.
1.자주관리 상태란 품질을 만드는 표준을 작업자가 지키도록 현장에 표준화 시키는 일이다.
이것 만으로도 부족하다...
작업자가 강하게 인식하도록 어떻게 만들어 갈 것인가가 중요하다.
만일 실수를 했을 경우 다시 실수를 재발하지 않도록 하는 관리의 강화가 필요하다.
혹은 실수 발생시 치명적문제가 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면 관리를 강화 시켜야 한다
그래도 되지 않는 다면 실수방지창치(FOOL PROOF)를 고려해야 하고....
왜 동일한 실수를 발생 시킬 수 밖에 없는 기술적 요소가 있는 가를 깊이있게 검토해야한다.
2.다음은 DATA를 통해 4M의 유의한 변동이 발생했는지 모니터링되어야 한다.
앞에서 말한 중심의 변동이다. 중심의 변동은 4M의 유의한 변동이 발생 했음을 의미한다
이를 관리도를 통해 발견하고 조치하는 일이다.
다음은 실력의 문제다.
이는 관리의 영역과는 다른 문제해결의 영역이고 하루 아침에 이루어지는 부분이 아니다.
우선은 공정의 고유변동이라고 하는 산포가 큰 공정을 찾아내는 것이 우선이다.
1.이를 위해 공정능력이라고 하는 Cp값이 관리되어야 한다.
2.다음은 공정능력이 부족한 공정에 대해서 문제해결의 프로세스를 진행시킨다.
실력의 문제는 결국 사양의 변경으로 혹은 개선으로 정리된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이 원인이 실수의 문제였는 데도 실력의 문제로 해결하는 우를 범하는 것이다
사양의 변경도 좋지만 이 경우는 전부 강화로 가 버린다.
부러졌다면 강도를 올리자.....이렇게 된다는 것이다.
분명히 불량은 1%도 되지않고 강도가 약하된 이유가 분명히 있는 데...관리의 실수로...
이 실수 문제를 찾아서 해결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실수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는 현장의 적극적 참여가 필요하다.
어떻게 이것을 만들것인가는 기업의 품질 문화가 결정한다.
매일 불량으로 회의하고.......
취약한 부분에는 관리를 강화시키고....
눈으로 확인 할 수 있도록 하고....
선행적 조치를 습관화 하고..........
우선은 이것이 정말 중요하다라고 하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 정말로 중요하다.
'품질 > 품질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QMS 정보화 시스템(Digital QMS) 필요성 (2) | 2022.12.08 |
---|---|
내부고발 포상10억...퍼온글 (0) | 2022.12.07 |
데밍.... (0) | 2022.12.02 |
고스톱과 시스템 경영 (0) | 2022.11.30 |
절차서 작성방법 (0) | 2022.1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