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차서 대로 일을 하자고 하는 데, 절차서가 제대로 되어있지 않다.
절차의 목적이 무엇인지 물으면 1차 대답은 한다. 조금만 더 들어가면
묵묵부답이다.
절차서 대가리에 반드시 표를 만들어 골치아프게 운영하는 것은 아니며
또한 표지를 반드시 만들어야 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만들면 어렵고
말도 안되는 문서관리가 되기 쉽다.
왜 그런가.
우선은 프로세스의 정의가 부족해서 그러한 것 아닌가 한다.
프로세스를 이용해서 목적과 목적을 달성하기위한 개략적인 활동의 내용을
제대로 정의 한다면 절차를 만들 수 있을 것아닌가 한다.
설비관리 프로세스와 절차가 있다.
대뜸 나오는게 설비구입부터....설비고장 시 대응방안으로해서 자주보전, 계획보전
그기에다 스페아 처리절차까지 다 한개의 프로세스와 절차 안에 넣어 놓았다.
"설비관리의 목적이 무엇입니까"
"도대체 이 절차의 목적은 좋은 설비를 구매하자고 하는 것입니까, 고장을 줄이자고
하는 것입니까"
프로세스와 절차의 숫자를 줄이다보니 그렇게 되었단다.....ㅠㅠ.....
왜 줄여야 하는 것인가....그것도 모르겠다.....
매뉴얼도 프로세스도 모두 중요하다..하지만 절차는 바로 업무처리의 기준이다.
따라서 정말 제대로 작성하면 좋겠다
--절차서 작성을 위한 기준들--
(1) 적용범위
: 실제 품질시스템의 적용범위를 명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2) 목 적
: 화려한 미사여구 사용금지하고 왜 절차를 만들었는지 구체적으로 명시해야 한다.
정말로 중요하다. 모든 것은 여기서 부터 출발이라는 사고가 필요하다.
(3) 용어의 정의
: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용어를 명시하는 것이 아닌 종업원의 개념이 서로 상이한 기업 고유 용어 등 KS /ISO 등의 표준 규격의 용어를 서술한다.
(4) 책임과 권한
: 절차에 규정된 내용을 근거로 서술된 형태가 아닌 짧게 명시한다.
*업무분장표가 있으면 (4)항은 불필요하며 업무분장표가 없는 경우
필요하다.
예) 4.3 자재담당자의 책임과 권한
현재 1) 발주서를 작성하여 자재부서장의 검토를 받아 이사의 승인을 득한다.
☞ 1) 발주서 작성
(5) 절 차
: 누가, 어떤 근거로, 무엇을 작성 누구의 승인을 받고 어디로 통보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정보전달의 명확성이다. 무엇을 누구에게 라고하는 개념이
정말 중요하다.
(6) 품질기록 : 품질기록은 회사규모, 제품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고 보관년한이 1년으로
규정될 경우 보존년한만 명시하고 보존년한은고객의 하자기간, 법적규제, 내부요구 사항에
의거 설정한다.
(7) 관련 절차/기준(문서) : 절차서 내에서 명시된 관련 절차만 나열한다.
예)구매절차에서 "자재입고시 수입검사규정에 따라"라고 명시된 경우
관련절차/기준 : 수입검사규정
** 관련문서라고 씰데없이 아무꺼나 나열하지 말자. 정말로 업무와 연결되는 것만
나열하자.
(8) 시행일자 : 승인일자가 1998.6.1일 때
:1998. 6.15일 부로 시행한다로 명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상기 작성 순서를 기존 사규처럼 "제1조 총칙 제2조 목적~"등으로
명시할 수 있다.
절차서는 신입사원 또는 경력사원에 대한 사내 법규 교육교재로 활용하면 바람직하다.
절차는 업무 순서에 따라 양식을 나열하면 간단하다.
절차서는 어떤놈도 대신 만들어 줄 수 없다.
매뉴얼이 방향이라면 프로세스는 목적달성을 위한 행위의 순서이고
절차서는 그행위를 6하원칙에 따라 구체화 시켜가는 것이다.
즉 구체적인 숫자를 규정하여만 활용할 수 있는 절차가 되는 것이다.
예) 매뉴얼 " 대표이사는 년 1회 이상 경영검토를 해야한다".
절차서 " 경영자는 매년 품질시스템 실행 결과를 다음연도 1월에
임원회의를 개최하여 경영검토를 실시한다"
'품질 > 품질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밍.... (0) | 2022.12.02 |
---|---|
고스톱과 시스템 경영 (0) | 2022.11.30 |
예방보전과 예측보전 (0) | 2022.11.30 |
관리계획서 만들기와 지키기... (0) | 2022.11.29 |
프로세스는 무엇이 중요한가? (0) | 2022.1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