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665)
[스크랩] 부자의 비결..그들의 10가지 습관 부자의 비결..그들의 10가지 습관 http://media.daum.net/v/20140527153011659 출처 : [미디어다음] Tech일반 글쓴이 : 지디넷코리아 원글보기 메모 :
변화과제5 5. 정보관리와 문제해결 마지막으로 우리가 갖춰야 하는 것은 문제해결능력입니다. 문제해결이라고 하는 것도 잘 생각해보면 사람들은 항상 일상의 생활 속에서 매일 매일 문제해결을 위한 시도를 하고 있습니다. 요즘 6시그마가 어떻고 하지만 이 또한 근원적인 문제해결의 절차를 벗어날 수가 없습니다. 여기서 문제해결의 방법론에 대해 고민해봐야 합니다. 사고는 왜 발생합니까? 실수인가요? 실력의 문제인가요? 사고가 나고나서 문제해결을 할 것인지, 아니면 사고가 발생 할 것을 예측해서 초기에 문제를 해결 할 것인지의 문제입니다. 물론 두가지 다 중요합니다. 하지만 우선 우리가 선택해야 하는 것은 빠른 정보로 빠르게 움직인다라고 것입니다. 불량, 결품, 납기에 관련된 중요정보를 어떻게 빠르게 얻을 것인가의 문제입니다...
변화과제4 4. 현장 5S와 자주관리 상태 네 번째 과제로서 아무리 좋은 개선안 혹은 표준도 만약 현장에서 표준이 무시된다고 한다면 아무리 훌륭한 박사가 있다고 하더라도 좋은 제품을 만들 수도 없고 많은 문제해결의 노력들도 결국은 허사이며 기업의 기술력이라고 하는 것도 만들어 질 수가 없을 것입니다. 그 보다도 현장은 고객의 요구가 실현되는 곳이라는 것이고 실현의 수준은 그 깊이와 정확성에 의해 결정될 것입니다. 이를 위해 현장에서 지켜져야 할 정확한 기준, 표준이 만들어지고 준수되고 그 결과에 의한 평가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평가에 의해 기준, 표준은 변경되어지고 이러한 표준과 표준을 만들어 내는 과정들은 기업의 기술력 요소로 정의되고 문제의 발생과 변경의 과정들은 새로운 제품의 개발에 반영되어지고 하는 시스템..
변화과제3 3. 프로세스의 표준화 개선의 노력은 관리업무에서도 현장에서도 상시 일어나야 하는 것인데 특히 중요한 것은 현장을 중심으로 하는 노력입니다. 많은 곳에서 표준이 무시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관리직도 현장도 마찬가지입니다. 모든 표준화의 노력이 중요하나 현장에서의 표준은 바로 품질과 생산성에 직접 연결되는 것이기 때문에 훨씬 중요합니다. 그리고 일상화되어야 하는 관리와 개선은 관리자의 역할이 아니고 작업자의 역할입니다. 이게 1:30:300에서 300의 역할이지요. 기업경영에 관련된 수없이 많은 사람들이 고민하고 학자들은 경영의 방법론에 대해 정의를 내리고 하지요. 산업혁명이 이루어지고 경쟁이 나타나고 해서 이런 고민이 시작되었나 봅니다. 해결방법으로 가장 대표적 사례가 테일러가 말한 표준화입니다. 일하는 ..
변화과제2 . 시스템과 개선 다음의 두 번째 과제는 과연 시스템을 갖춘다고 해서 구성원이 그것을 지킬 것인가 하는 문제입니다. 이게 시스템을 사용해야 하는 우리 구성원들의 전반적 수준이 결정하기 때문입니다. 수없이 많은 회사가 이 부분에 실패 합니다. 결국은 사람의 수준에 의해 시스템의 수준이 결정될 수 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어떻게 사람을 좋은 사람으로 변경 시킬 것입니까. ....어떻게 할까요? 이것이 문제입니다. 그리고 현재도 시스템이 있지요. ISO니 TS니하면서 말이지요. 문제는 그 시스템에 대한 전원의 관심이 없습니다. 여러 요인이 있습니다만.... 많은 사람들이 국가, 기업이 가지고 있는 문화의 수준이라고 합니다. 그 기업이 가지고 있는 문화의 수준?....이것도 어렵지요. 저는 사람을 변화시키는 것은..
변화과제1 품질과 회사의 진정한 변화에 대한 고민으로 어려움이 많은 것 같습니다. 누군가가 한 번에 문제를 해결 해 줄 수 있다면 좋겠습니다만....참 어려운 것 같습니다. 어떻게 보면 모든 기업이 가지고 있는 원초적 고민이 아닌가 합니다. 그렇습니다. 컨설팅을 하는 저의 고민도 유사합니다. 항상 생각하지요. 컨설팅과 학생들을 공부 잘하게 하는 것과 유사한 것인데... 내가 수학문제 푸는 방법을 가르쳐 주면 되는 것일까....학생은 재미도 관심도 없는 데... 근원적으로는 불가능 한 것은 아닌가?... 초등 때 공부 잘 하는 학생이 결국 좋은 학교 가는 것이지. 못하다가 잘하는 경우는 거의 없는 것 아닌가? 하는 것입니다. 우리 작은애가 강남 8학군에서 학교 다녔는 데, 제가 보기에 강남 8학군은 허상이더군요. 차..
변화과제 품질과 회사의 진정한 변화에 대한 고민으로 어려움이 많은 것 같습니다. 누군가가 한 번에 문제를 해결 해 줄 수 있다면 좋겠습니다만....참 어려운 것 같습니다. 어떻게 보면 모든 기업이 가지고 있는 원초적 고민이 아닌가 합니다. 그렇습니다. 컨설팅을 하는 저의 고민도 유사합니다. 항상 생각하지요. 컨설팅과 학생들을 공부 잘하게 하는 것과 유사한 것인데... 내가 수학문제 푸는 방법을 가르쳐 주면 되는 것일까....학생은 재미도 관심도 없는 데... 근원적으로는 불가능 한 것은 아닌가?... 초등 때 공부 잘 하는 학생이 결국 좋은 학교 가는 것이지. 못하다가 잘하는 경우는 거의 없는 것 아닌가? 하는 것입니다. 우리 작은애가 강남 8학군에서 학교 다녔는 데, 제가 보기에 강남 8학군은 허상이더군요. 차..
인력난을 이겨낸 중기들 컴퓨터를 인터넷에 연결하는 케이블을 생산해 SK텔레콤·KT·LG유플러스 등 국내 3대 통신사에 납품하는 중소기업 고려오트론. 이 회사의 최하나(36)씨는 입사 7년째인 지난 1월 차장으로 승진했다. 함께 입사한 다른 사원보다 2~3년 빨리 승진한 것이다. 윤성진(33) 과장도 마찬가지다. 광통신 분야를 전공했고 전문성이 높다는 평가를 받아 입사 4년 만에 승진했다. 이 회사에서 승진은 나이나 성별, 근무 연차와 전혀 무관하다. 오로지 전문성과 능력으로만 평가한다. 고려오트론이 중소기업에서는 흔치 않은 인사제도를 도입한 건 사실 인력난 때문이었다. 숙련된 직원들 중에도 이직(離職)이 잦았다. 정휘영(59) 고려오트론 대표는 젊은 사원들이 빨리 전문성을 갖추도록 만드는 것으로 해결책을 찾았다. 정 대표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