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665) 썸네일형 리스트형 FMEA5(PFMEA작성) PFMEA 작성을 위해 아주 구체적으로 설명이 여기서는 어렵지만 구체적인 것은 첨부에 두고 개략적 사고라도 도움이 될수 있도록 정리 해보자. 1.공정 흐름도 작성. - 공정흐름도의 내용은 다들 잘 알고 있을 것이다. 공정의 순서, 명칭과 내,외작이 결정되고, 설비의 명칭이 구체화 되어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수입검사에서 부터 출하(운반)의 전공정에 걸쳐서 조사하여야 하는 것과 검사공정에서 부적합이 발생시 어떤 흐름으로 가야 하는지를 구체화 하는 것도 중요하다. (보통 누락의 경우가 많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공정별 제품특성과 공정특성을 구체화 시키는 일이다. 공정별 제품특성을 알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DFMEA작성시 조사된 고장원인을 기준으로 하여 작성되어야 하는 데, 문제는 설계책임이 .. 도요타 생산방식 소개13(공수절감1) 제 6절 공수절감 추진방법 6-1 현장작업실제 인식 공수절감활동을 추진함에 있어 작업현장을 어떻게 인식할 것인지는 중요하다. 오늘 작업하는 방법중 라인 가동율도 비교적 높다.불량율도 좋은 범위 내에 들어간다. 전체적으로 합격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라면 여기에 개선의 의욕은 생기지 않는다. 자신이 개선의 싹을 제거해버린다고 말할 수 있지 않을까 어떠한 현장도 자세히 관찰하면 작업이라 불리우는 것은 적고 많음을 그림과 같이 나눌 수 있다. 그 부분을 예시하면 다음과 같다. 낭비(무다) 작업을 함에 있어 아무런 필요가 없는 것 .따라서 제거할 수 있는 것. (예)작업대기、의미가 없는 운반(제공품 겹쳐쌓기,재운반,바꿔지기등 부수 작업 부가가치는 없지만 오늘 작업 조건 하에 하지 않으면 안되는 것。(이것도 사실 낭.. FMAE4(PFMEA의 이해) 지금 까지는 FMEA보다 품질만들기의 가장 기본적 사고에서 FMEA를 들여다 본것이며 여기부터 FMEA의 작성을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전개해보자. 앞서 거론한 것 처럼 공정에서의 품질 만들기를 좀더 체계적이고 완벽하게 해나가기 위해서는 분명 FMEA와 같은 체계적 해석방법을 활용하는 것이 매우 도움이 되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FMEA는 FAILURE MODE EFFECTS ANANYSIS의 약자로서 고장형태영향분석이라고 사전적 정의는 가능하다. APQP내 에서 본다면 제품과 공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잠재적인 고장형태를 규명하고 이의 제거를 위하여 체계적 기법을 사용하도록 하는 분석도구이다. 이를 좀 더 풀어서 이해 해본다면 1.제품과 공정이란 : FMEA를 제품특성의 과 공정특성의 결정과 관리방법을 .. 품질개선12(개선안 수립1) 조사된 근원 원인에 대해 어떻게 개선하여 향상시켜 갈 것인가, 어떠한 해결방법을 모색할 것인가 하는 방책을 취하는 창조적 단계가 4단계이다. 대안을 찾는 것에는 크게 두가지로 분류 될 수가 있다. 이는 정상에서 벗어난 문제(돌발형 문제)와 만성형 문제다. 1. 돌발형 문제 - 이는 이상상태를 정상상태로 돌려놓는 일이다. 우선은 임시조치로 돌려 놓고 왜 이상상태가 발생했는가 하는 원인을 찾아서 재발방지의 조치를 하는 것이다. 가장 바람직한 것은 원인을 근원적으로 제거하는 것이다. 앞에서 술 취한 사람을 예로 든적이 있는데 술 취하지 않도록 하려면 술을 없애면 될 것이다. 아니면 관리가 용이하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가장 적합 한 것은 fool proof 같은 것이다. 혹은 눈으로 보는 관리등을 이용해 재.. 퍼온글-오빠가 떠난 자리 (감동의 실화) 오빠의 기일을 그냥 지나쳤다. 제헌절인 7월 17일이기 때문에 여간해선 잊지 않았는데 금년엔 그만 잊고 말았다. 오빠가 세상을 떠난 지 15년. 그 동안 ‘하루도 빠짐없이’라면 거짓말이 되겠지만 그와 흡사하게 나는 오빠 생각을 하며 지냈다. 그것은 육친을 잃은 슬픔이라든가 아픔이라든가 혹은 그리움 같은, 별리가 주는 일반적인 감정하고는 거리가 먼, 뭐랄까 일종의 습성이라 해도 좋다. 남들과는 살가우면서 가족들에게는 거리를 두었던 일. 객지로 돌던 학교와 직장생활. 회생할 수 없는 중증의 결핵환자가 되어 들것에 실려 왔던 귀가. 가히 순교적이었다고 할 수 있는 병상의 날들. 이런 모든 것도 생각하지만 늘 내게서 떠나지 않는 것은, 오빠가 떠나고 난 자리이다. 너무도 간단한 뒷자리이다. 투병생활의 마지막 1.. 도요타 간판과 생산관리 우선 이렇게 연락 주신 대성전기 전완식님 감사 합니다. 또한 도요타 생산방식을 적용하기 이해 아직 심도 깊은 노력을 하고 계시니 반갑기도 하고요. 좀전에 유선으로 통화 한 내용을 정리해 보고 참고자료를 첨부 하겠습니다. ......... 많은 회사가 TPS 생산방식중 간판 이라고 하는 생산관리 체계를 도입하기 위해 노력을 해왔다. 본인도 과거 IMF 전에 많은 대우차 협력사에 간판을 도입하기 위해 노력 한적도 있었기도 하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IMF의 과정을 거치면서 대부분의 회사는 간판에 의한 관리체계를 포기했다고 하는 사실이다. 왜인가? 가장 중요한 이유는 첫째로는 엄청나게 많은 간판의 운영의 문제가 핵심이다. 간판의 매수가 많다고 하는 것은 재고가 그만큼 많다는 것이고, 간판 조정의 어려움, 간판.. FMEA3(품질과 PFMEA) 앞에서 자료 혹은 정보의 중요성에 대해 논해봤다. 그리고 우리가 자료로서 혹은 정보로서 사내에 표준화 시켜가야 할 내용이 무엇인지도 개략적으로 정의도 내려보고 이러한 정보는 FMEA로부터 공정의 지침서인 관리계획으로 정리되고 관리되어야 한다고 정리도 했다. 나는 이것을 자료의 표준이라고 생각한다. 표준화 되지 못하는 자료들은 좋은 정보로서 제대로 활용되어 질 수 없는 그냥 첩보들이 아닌가. 많은 사람들이 하는 얘기가 우리의 Know how는 자료화 되지않고 오래된 직원들의 머리 속에 있다고 한다 그리고 그게 개인의 능력이라 공개 할려고 하지도 않을려고 한단다. 정말 그런가하는 의구심에 개인의 Know how가 무엇인지 오래된 현장 감독자에게 작성을 해보자고 했다 내가 보기에 결과는 정말 할말을 잊었다. .. 품질석학 소개 1. W. Edwards Deming(1900~1993)의 품질개선 지침 . 현대품질운동의 아버지 . 1951년 일본에서 데밍품질상 제정 . 7가지 병폐와 14가지 품질개선 원칙 발표 . 1930년 기술자들에게 슈하르트의 SQC 교육 . 1960년 미국인 최초, 일본 대장성 훈장 수여 . 1986년 연쇄반응개념 발표 2. Joseph M. Juran(1900~)의 3대 품질원칙 . 1951년 저서[품질관리 핸드북] 출간 . 1989년 품질 트릴러지(삼위일체) 주장 - 품질계획 : 고객결정, 상품개발, 품질목표설정, 서비스과정 설계 - 품질관리 : 측정수단 정의, 성과비교, 시정조치, 교육 - 품질개선 : 개선프로그램 작성, 원인규명 해결책 제시, 지속적개선 장치 개발 . 1951년 저서 The Quali.. 이전 1 ··· 69 70 71 72 73 74 75 ··· 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