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품질/품질경영

(56)
TQM연재4:시작하기 전에 제2장 TQM을 시작하기 전에 이것만은 알아두자 . 무엇을 하던지 목적이 뚜렷하지 않으면 성공을 바랄 수 없다. TQM의 도입에 있어서는 우선무엇 때문에 TQM을 도입하는가를 명확히 하지 않으면 안 된다. TQM은 회사경영 방법의 한 가지이므로 TQM으로 회사를 개혁한다(현상타파)는 목적이라도 좋다. 그러나, 이 경우는 회사의 현상을 정확히 파악하고, 회사가 장래를 위하여 지향해야 할 방향을 잘 생각해, 발전을 위한 과제를 명확히 하는 것이 출발점이 된다. 다음으로, TQM을 시작하기 전에 확인해 두어야 할 것이 있다. 그것은 “TQM의 도입이 CEO의 의사이다“라는 것이다. TQM은 전사적으로 체계적으로 행하는 활동이며, 회사 Top의 자발적 의욕과 리더십 없이는 결코 성립되지 않는다. TQM에 있어 ..
TQM연재 3...행동양식 5. TQM에는 기본적인 “행동패턴”이 있다 TQM의 행동에는 일정한 패턴이 있다. 우리들이 경험한 것을 토대로 집약한 것이 의 좌측에 나타나 있다. 이것을 항상 실행하고 있으면 합리적(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일을 추진할 수 있다. 이 행동 패턴에서 주된 것을 알기 쉽게 “일의 추진방법”으로 바꾸어 쓰면 의 우측 부분과 같이 된다. 여기에 표시한 것은 일반론이며 제조업등과 같이 정확한 목표설정이 될 수 있고, 평가지표도 정량적으로 정해질 수 있는 경우에 해당된다. 연구 등을 포함한 비제조업에서는 초기의 단계에서는 목표의 수치설정이 어려운 경우와 같이 이대로는 안 되는 점이 있다. 그러나, 애매한 점이 있는 목표에서라도, 전원이 공통으로 인식할 수 있으면, TQM적인 일의 추진 방법은 가능하며 일의 내용에..
TQM연재 2:TQM의 규칙 3. TQM은 “참 목적”과 “유효한 수단”을 가르친다 TQM에 성공한 사람들에게서 「TQM에는 기본적인 사고방식은 있으나 정해진 형식은 없다」라는 말을 자주 듣는다. 실제로 TQM을 해보면, 이것을 실감으로 강하게 느끼게 된다. TQM은 오랜 역사 속에서의 실천ㆍ체험의 기록과 이것들이 축약된 개념의 집합체이다. 이들 거대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집약한 전문서는 보이지는 않는다. 이런 까닭에 TQM의 활동은 우선 기본적인 사고방식을 이해하고, 이것을 자사에 전개하되, 전개하면서 자사에 맞도록 다듬고, 더욱이 자사에 적합한 것을 개발해 나가는 것으로 완성을 향해 가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필자들이 활동을 통해서 알아낸 것은 TQM의 중요한 사고방식은 크게 2종류로 나눌 수 있다는 것이다. 그 하나는 TQM..
TQM 연재1..사고방식 제1장 TQM 사고방식의 포인트는 무엇인가? TQM에는 50년 이상의 실천의 역사가 결집되어 있어, 체험 없이 전체를 이해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지만, 우선 정의 등에서 개념적으로 다음과 같이 찾아내는 것이 좋다. TQM은 “기업목적을 달성하는 활동”이다. 즉, 기업을 존속시키고, 더욱 발전시키기 위해 하는 활동이다. TQM의 목적은 회사의 업적을 비약시키는 것이다. TQM은 “회사를 발전시키는 처방전으로 전원을 인도”하는 것이다. 그 최상위의 개념은 회사가 생산, 제공하는 물건이나 서비스의, 고객만족도가 높다 (=품질이 좋다) 는 것이다. 이것을 회사발전의 불가결한 요소에 가져다 놓는 것이며, 이것으로 기업의 목적인 장기적인 적정이익을 확보할 수 있다는 것이 TQM의 근간을 구성하는 사고방식이다. 더욱..
프로세스와 절차 김건우씨 안녕하세요... 좋은 질문 주셨네요....자주 질문 주세요 그러면 나도 더 힘이 나겠네요..ㅎㅎ... 전에도 한번 이에 대한 설명을 올린 적이 있습니다. 한번 찾아보세요.....프로세스란 이란 제목으로 설명을 했습니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님의 말처럼 다들 그렇게 정의를 어렵게 내리는지..ㅎㅎ.. 그럼 한번 자세히 살펴봅시다... 프로세스란 무었인가... 간단하게 말해서 공정이다. 공정이란 무엇인가.... 목적달성을 위해 새로운 기능이 혹은 변화가 발생하는 하나의 집단이다. 제품을 만드는 과정에서 용접을 한다고 하면 용접이 공정이다 부품을 용융해서 접합�다라고 하는 하나의 기능이 발생한 것이다. 그러면 용접을 하기위해 부품을 준비하고 지그에 부품을 올리고..........................
layered audit & care GM 시스템에 대한 의문이 있었네요.... 요즘 QSB라고 하는 GM의 기본적 품질요구 사항에 대한 현장에서의 적용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전반적 QSB에 대한 설명은 차후에 하기로 하겠습니다. 이번에는 LAYERED AUDIT와 CARE에 대한 설명을 하겠습니다. LAYERED AUDIT는 계층적 감사라고 합니다. 간단하게 말해서 감사 항목을 정해서 조직내 계층적으로 감사를 하라고 하는 것입니다. 우리 현장의 일반적 문제는 공정관리 혹은 현장에서의 기초적 시스템이 준수되고 있는가 하는 것을 제대로 감사하는 경우가 매우 부족합니다. 부적합 처리 절차라고 하는 단순한 절차도 제대로 이행되는 회사가 드문게 현실입니다. ㅎㅎ 현장의 작업자로 부터 경영자까지 감사해야 할 내용을 정의 하고 매교대당, 매일, 매..
프로세스란 항상 헤깔리게 하는 어려운 정의다. 프로세스나 프로시저나...그게 그것아닌가 한다. 그런데 과거 프로시저에서 프로세스로 바꾸라고 하니...참 어렵다... 프로세스라?..... 공정이다....공정이란 무엇인가? 조직의 목적 달성을위해 새로운 기능이 부여되는 변화를 일으키는 단위활동(ACTIVITY)을 말한다. 프로시저라? 절차다..... 단위활동을 전개 하기위한 구체적 단위행동(BEHAIVER)들의 모임...... 활동(Activity)의 정의가 필요하다. Activity is a situation in which a lot of things are happening or being done. a lot of things의 개념이 중요한 것같다...... 많은 것들이 벌어지는 상황을 총합적으로 나타낸것이 ..
품질석학 소개 1. W. Edwards Deming(1900~1993)의 품질개선 지침 . 현대품질운동의 아버지 . 1951년 일본에서 데밍품질상 제정 . 7가지 병폐와 14가지 품질개선 원칙 발표 . 1930년 기술자들에게 슈하르트의 SQC 교육 . 1960년 미국인 최초, 일본 대장성 훈장 수여 . 1986년 연쇄반응개념 발표 2. Joseph M. Juran(1900~)의 3대 품질원칙 . 1951년 저서[품질관리 핸드북] 출간 . 1989년 품질 트릴러지(삼위일체) 주장 - 품질계획 : 고객결정, 상품개발, 품질목표설정, 서비스과정 설계 - 품질관리 : 측정수단 정의, 성과비교, 시정조치, 교육 - 품질개선 : 개선프로그램 작성, 원인규명 해결책 제시, 지속적개선 장치 개발 . 1951년 저서 The Qual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