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품질/품질관리

(37)
관리상,하한선은 시료수에 따라... 품질관리를 위해 SPC의 적용이 늘고있다. 그중에서도 관리도의 사용은 매우 중요하다 또한 관리도에서 가장 중요한 일은 관리선을 계산하는 것일 것이다. 근데 이 관리선은 변화하는 것인가? 그렇지 아니하는 것인가? 변화한다면 왜 변해야 하는 것인가? 우선 가장 기본으로 돌아가보자 품질을 만드는 방법은 우선 이상원인의 출현을 막아야 한다 이상원인의 출현은 4M의상태가 변화했음을 말하는 것이고 이는 이전과 다른 품질을 만드는 새로운 상황이 전개되었다고 할 수있다. 그리고 이상원인의 출현은 집단의 중심을 변화시킨다. 따라서 집단의 중심값이 변했을 때 공정의 변화가 왔음을 알고 조치를 취하는 것이 관리도의 목적이다. 문제는 어떻게 집단의 중심이 변화했는지를 알아야 하는데 만일 전수 체크를 하고 중심값을 읽는다면 간..
중요공정 관리.....답변.. 자료만 퍼다 쓸줄 알았지 고맙다는 인사 제대로 못했네요... 저는 중소기업(일반제조업) QA팀장입니다. 자동차 관련 산업은 아니지만 품질관리가 요구하는 것이 다똑같으니 딥룩님의 자료가 많은 도움이 되고있습니다. 고맙다는 인사도 드릴겸 해서 방명록에 몇자 적고 있는데 한가지 도움을 구하려고요... 저희 회사가 이번에 L사로부터 협력업체등록 실사를 받는데 다른건 다이해가 가는데 중요공정 관리에 대한 부분이 어렵네요. 굳이 나열하자면... 1. 중요공정작업자에 대한 교육 및 평가기준 문서화 2. 공정작업자 평가를 통한 인증 및 적합성 여부 checking 3. 중요공정 작업자와 일반공정 작업자의 식별 기준 4. 중요공정 작업자의 부재시 대응가능한 시스템 여부 이상 중요공정에 대한 실사항목인데 감이 오지 않아서..
공정관리의 어느 질문... 질문. 1. 공정 품질지수(부적합률?)를 어떻게 표현해야 하나요? 가공공정과 조립공정이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같은 공식으로 나타낼수는 없을것같은데요.. 예를들어 직행률, 수율 등 이런것이 있던데 이런것을 적용할 수 있는지... 2. 공정관리의 주요업무는 어떤것을 해야하나요...? 막연하게 질문드리는것 같은데요, 뭔가 품질활동을 해야 할텐데 구체적으로 어떻게 진행을 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통계적기법활용을 포함해서 공정품질관리팀에서는 어떤업무를 진행하는지 간략하게만이라도 부탁드리겠습니다. 답을 간단히 드리겟습니다. 1-1.공정 품질지수는 불량율, PPM, 공정능력, 시그마 수준, 수율, 직행율......무엇으로 라도 정의 할 수있습니다.....중요한 것은 모든 지수가 동일한 기준으로 평가 될 수 있도록 한가..
관리한계선이란(SPC) 관리도의 작성이 어려운건지? 아니면 작성은 하고 있는데 실제 효용적 가치가 없다고 하는 것이지 지인으로 부터 몇번의 전화가 있었다. 오랬동안 검토해서 관리도를 그리고는 있는데 그 다음이 없다고 하는 것이다......왜? 그려야 하는지.....ㅎㅎ 관리도를 그리면서 정말 효용적 가치를 만들어 내는 회사가 드문 이유는 무엇일까?... 내가 보기에 1차적 문제는 관리선의 적용이 문제다. 대부분이 보면 스펙선으로 그어놓았다....... 좀 잘한다고 하는 회사는 스펙선을 3등분하여 타점의 위치에 따라 좀다르게 취급하고 있다고.ㅎ 며칠전 지도 회사에도 현재 이렇게 관리도를 그리고 있는데 TS 심사원 평가 내용이.... 관리도는 잘 그리는데 후속 조치가 없단다...ㅠㅠ 도대체 관리선이란 무엇이란 말인가 불량이 발생했..
특별특성의 관리 사례 방명록에 요청이 있어 간단한 사례를 올려봅니다...... 아래 사례는 자동차의 주요부품인 con rod 의 spc적용을 위한 준비 사례입니다... 직각도가 특별제품특성인데 이 직각도를 결정하는 공정이 horning 공정이고... 따라서 이 공정에서 하루에 두번 4개씩 샘플을 뽑아서.....관리도를 그릴려고 준비하고 있는 과정입니다 물론 이담에는 관리도를 그리는 것인데... 이는 좀더 상세한 설명이 필요 하겠지요....
특별특성의 관리 안녕하십니까. 특별 특성과 그 공정 관리에 대한 자료 감사합니다. 저는 단지 특별 특성의 지정과 해당 공정 능력 측정 관련 자료를 요청했는데, spc 자료까지 덤으로 와서 기뻤습니다. 현재는 보내 주신 내용중에서, 먼저 제품 requirement 들중에서 필요한 특별 특성을 먼저 정의 하는것이 필요하구요. 그 다음으로 각 특별 특성에 대한 공정 능력 측정 계획 (data collection plan)을 만들어 직접 협력 업체에가서 data를 측정할 계획입니다. 마지막으로는 두 업체간의 공정 능력 차이에 따른 품질 risk(Warranty claim 발생 정도)를 비교 평가하여 품질 대비 업체 공급 원가의 적정성 여부를 판정할 예정입니다. 이때 만약 적정한 business case가 된다면, 해당 업체의 ..
어느 질문3(Ppk와 Cpk) 질문이 좋아서 또 메인에 올립니다.....ㅎㅎ...감사합니다..... 또 이렇게 질문을 하게 되었습니다~~^^ 이번 질문은 Cpk 와 Ppk에 대한 질문입니다. 특히 Ppk에 대해 개념을 잡아가는 중 혼란을 겪에 대해서 이렇게 질문을 드립니다 Ppk와 Cpk를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알겠습니다. 그리고 Ppk의 산포는 군내변동과 군간변동을 포함하고 Cpk의 산포의 경우 군내변동만 포함합니다. 그러므로 Ppk의 산포가 Cpk의 산포보다 더 크게 됩니다. 개발단계의 경우 Ppk(장기공정능력)을 사용하고 양산단계의 경우 Cpk(단기공정능력)을 사용합니다. 저번주 토요일 외부강사의 교육중 개발시 PPk>1.67 이 기준이고 양산시 CPk>1.33 이 되어야 믿을 수있는 공정이라는 말을 들었습니다. 여기서 의문..
어느 질문2 밑에 질문 올린 사람입니다.^^ 답변 감사합니다.(--)(__) 좀 더 궁금한 점에 대해 물어 보겠습니다. 품질검사가 공정능률과 생산성과 상호보완되어야지 상충되어서는 안된다고 생각해서 질문올리겠습니다. :(지금 문제시 되는 공정은 누유 검사 공정으로, 앞 단계의 조립후 누유가 되는지 않되는지 검사하는 자동화된 기계에 의해 검사되는 공정입니다.~현재 이공정이 특별특성으로 지정되어있습니다) 현재 저희 업체는 현대자동차 1차밴더 입니다. 그래서 품질 5스타를 목표로 5스타 진단을 준비중입니다. 품질 5스타 체크시트에 보면, 4.2 양산공정관리중 특별특성에 관한 항목이 있습니다. - 통계적 기법 등이 포함된 관리기준 수립. - 제가 생각하기에 이 누유검사 기계는 100%(기계점검만 잘되있을경우) 검출이 가능합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