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665)
공장관리3(사물을 보는 방법) 관리자는 매일 매일 관리를 한다고 하는 데 정작 관리가 무엇인지 물어보면 답이 시원치 않다. 품질경영에서도 말해왔지만 사전적 의미의 관리는 무엇인가 하는 것은 쉽게알 수 있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실제 현장에서 관리를 수행 하는 것인데, 이게 말처럼 쉽지 않다. 관리를 하고자 하나 실제 현장에 가보면 무엇을 관리 해야는 지 알 수 없는 것이 실제 상황이다. 순회를 해야는 데 배회 밖에 되지 않는다. 여기에는 여러가지 이유가 있다. 우선은 현장에서 무엇을 봐야 할 것인가 하는 개인적 열정도 문제이고, 보여져야 하는 데 보이지 않는 현장의 구조에도 문제가 있다. 우선 관리는 관심이라고 정의를 하자. 관심이 있으면 왜 문제가 보이지 않겠는가. 어떻게 보면 모든 것이 관심의 부족이 아닌가 한다. 현장에서 일하는..
공장관리2(현장중심사고2) 전편에 이어서 현장중심 사고를 위해 갖추야 할 기본적 내용을 정리해보자 4.큰일을 하기 위해서는 논리를 철저히 갖추어라. 논리를 갖춘다는 것은 무엇인가 - 이치에 맞을 것 - 정석대로 할 것 - PDCA를 갖출 - 프로세스대로 진행 할 것......등 논리정연함을 항상 요구한다. 하지만 이런 표현들 조차도 어렵게 느껴진다. 그냥 쉽게 표현해서 "누구라도 이해 할 수 있도록 표현 하는 것" 이것이 논리적인 것이라고 할 수있겠다. 앞에서 말 한 것 처럼 인간은 목적이 있기 때문에 행동을 하는 것이다. 이렇게 행동을 일으켜 목적을 달성해 가는 과정이 상식적이고 누구나 알 수 있도록 알기 쉽게 되어 있다면, 이것을 우리는 논리적이다라고 할 것이다. 이러한 논리성이 부족하면 반드시 큰 저항을 당할수 밖에 없다. ..
공장관리1(현장중심사고1) 언제부터인가 제조현장에 5S 활동이다, 혹은 도요타 생산방식이다라고 하며 현장중심의 사고의 중요성을 강조해 왔다. 물론 이는 계약중심의 서구식 사고 방식으로는 발전해온 I.E 적 관리방법이 우리 현장에 효과적으로 적용되지 못하고, 80년대 후반 부터 나타나기 시작한 노사 갈등으로 새로운 공장관리 개념의 도입이 필요했던 것같다.... 특히 도요타 생산방식은 2차오일 쇼크를 발판으로 하여 급성장한 일본 자동차 산업의 경쟁력으로 전세계 산업계에 주목을 받기시작하여 테일러의 과학적 관리, 포드의 대량생산의 뒤를 이어 21세기 공장관리의 모델로 각광을 받기 시작 한 것도 이 때이다. 이러한 도요타 생산방식의 사고 중에서 현장을 관리 하는 관리자에게 요구하는 현장중심 사고에 대해 정리를 해본다. 흔히들 현장중심 관..
혁신을 위한 편지.....xx사 안녕하세요 정성봉 실장입니다. 또 파랗게 새로운 아침이 서서히 몰려오는 시간이네요. 이런 기회를 주신 것에 대해 감사드리고 또 새로운 프로젝트로 서로의 변화, 발전을 같이 할 수 있으면 좋겠다는 맘입니다.... 제가 멜을 드린 목적은 어제 말씀하신 향후 방향성 때문입니다. 어제 현장도 보고, 사장님과 여러 말씀도 나누고 혼자 여러 생각을 했습니다. 우선 제가 내린 결론은 우리가 가야 할 방향을 우선 결정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몇 가지 부분적인 품질 프로젝트보다도 xxx의 변화의 전략을 구상하고 그 안에서 어떤 프로젝트를 할 것인가를 생각하는 게 옳을 것입니다. 결론을 말씀 드린다면 지금 회사는 근원적인 변화를 모색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경영 혁신추진팀을 만들고 이 운동이 전직원의 사고와 행동의 PAR..
품질경영의 이해7(품질문제해결절차2-쥬란) 전편에서 품질문제 해결을 위해 자주관리 상태를 만드는 것과 자주관리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핵심적인 요소라고 했다 1.자주관리 상태 제공....관리자 통제 2.자주관리 상태 유지....작업자 통제 이 두가지를 행하는 데 있어서도 진단과 처방의 단계로 진행시켜가야 한다. 특히 이중에서도 중요한 것은 진단의 과정이라고 하겠다. 진단이란 근원적 원인을 찾아 내는 과정이다. 이 원인을 쉽게 찾아 낼 수도 있고 CT촬영과 같이 아주 어려운 진단의 도구가 필요 할 수도 있다. 어떻게 했던 중요한 것은 근원적 원인을 찾아 내는 것이고, 이 원인을 찾아내는 과정이 우리가 갖추어야 할 경쟁력의 핵심이 아닌가 한다. 나는 우리의 경쟁력은 불량에 있다고 말한다. 발생한 불량으로부터 주요한 정보를 찾아내는 조직은 ..
품질경영의 이해6(품질문제해결절차1-쥬란) 품질경영을 기능적 요소로 분류해 본다면 품질계획, 품질관리, 품질개선으로 구분 할 수 있다. 앞에서 품질관리에 대한 일반적 정의에 대해 논해봤다. 다음으로 필요 한 것은 새로운 수준으로의 변화가 필요한데 이것을 개선이라고 정의 할 수 있다. 이 처럼 어떤 조직이든 생존을 위해서는 관리와 개선이 필연적이다. 이는 자전거의 두바퀴와 같이 같이 회전 할 수 있을 때 넘어지지 않고 나아갈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현상을 타파하는 것을 개선이라고 한다. 이러한 현상타파를 위한 품질문제 해결절차를 쥬란박사의 논리적 접근 방법을 요약 해본다. 쥬란 박사는 문제 해결절차를 아래와 같이 정의 했다 1. 필요성의 증명 2. 프로젝트 설정 3. 프로젝트 추진조직의 구성 4. 프로젝트 증세분석 5. 프로젝트 진단 6. 프로젝..
SPC 초보적 이해7(공정능력의 활용) 공정능력의 평가는 실제 현장에서 너무도 중요한 요소이다. 하지만 아직까지 중요성 만큼 적용되어지지는 않고 있는게 현실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고객의 요구가 Cpk값이 1.33이상 혹은 1.67이상을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형식적으로는 열심히 대응하고 있다는 게 사실적 일 것이다. 왜 공정능력의 평가가 중요한 요소인가 하는 것에 대한 깊이있는 이해가 요구되어 지지만 이에 대한 이해부족으로 인해 현장업무에 적용이 아직 미진 한것이 아닌가 한다. 일반적으로 1.Cpk=1.0 일경우 예상불량율 2700PPM 2.Cpk=1.33일경우 예상불량율 63PPM. ......이 정도로 예상 할 수 있다. 이때문에 고객의 일반적 요구는 Cpk 1.33 이상을 요구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왜냐하면 1.고객에게 불량이..
SPC 초보적 이해6(공정능력) 공정능력(Capability of Process)이란 무엇인가? 우선 그 정의를 살펴보기로 하자. - 공정의 품질 달성능력이다. (어휘상의 정의) - 공정이 최상의 조건을 이룰 때, 즉 관리상태일 때 제품 각각의 변동이 어느 정도인가를 나타내는 양 이다. (Juran) - 의미있는 원인이 제거 혹은 적어도 최소화된 상황에서 공정 최선의 성과를 의미한다. (E.G. Kirkpatrick) - 일정한 요인에 의해 정상적인 안정조건에서 그 공정의 품질상 달성능력이다. (A.V. Feigenbaum) 위의 정의를 종합해 보면 해당공정이 달성할 수 있는 최선의 능력을 의미 한다고 할 수 있다. 이를 흔히 단기능력이라고도 하는 데.. 이를 정확하게 이해 할 필요가 있는 것같다..... 어느 학생의 시험 성적이 반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