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665) 썸네일형 리스트형 SPC 초보적 이해5(관리도의 활용) 지난 편에서 기본적인 관리도의 개념에 대해 설명했다. 하지만 더욱 중요한 것은 현장에서 불량예방의 도구로 활용되어야 하는 것인데 그러지 못한게 일반적 상황이다. 현장에서 보이는 많은 관리도들은 QC사무실에서 일주일, 혹은 한 달 단위로 그려서 예쁘게 프린트해서 전시용으로 걸려있는 것을 많이 보았다. 심사를 잘 받기 위한 것인가. 그래도 요즘은 컴퓨터의 발달로 현장에서 컴퓨터 모니터를 통해 문제의 발생을 알 수 있도록 조치해가고 있어 다행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이것 조차도 유효하지 많은 경우가 매우 많으니 이것이야 말로 큰일이 아닌가 생각한다. 내 생각에는 많은 투자를 하여 현장에서 컴퓨터를 사용하는 것도 좋지만 종이를 가지고도 충분히 연습후 컴퓨터를 도입하는 것이 좋지 않을까 생각한다. 한 10여년 전.. SPC 초보적 이해4(관리와 관리도) 이제 관리라고 하는 단어를 현장의 품질적 관점에서 구체화 시켜본다면 제품특성에 문제를 일으키는 이상원인이 발생하였는가를 찾아내어서 이상원인을 제거함으로서 공정을 안정되게 하는 활동(4M의 변동을 예방함으로서)이라고 말 할 수 있을 것같다. 이를 우리는 공정을 관리상태에 둔다고 말하기도 한다..... 이상원인에 의한 공정변동이 발생하였음을 어떻게 알 것인가.......... 이것이 핵심의 문제다....... 우리몸에 이상이 발생했음을 가장 간단하게 알아내는 방법 중에 체온을 재는 방법이 있다. 가장 정상적 체온은 36.5도 이지만 활동 할 때, 휴식 할 때, 자고 있을 때...... 체온이 다르게 측정 될것이다, 많은 데이타를 모아 본다면 분명 36.5도를 중심으로 해서 정규분포의 모습을 그릴 것이다. 체.. 도요타 생산방식 소개3(과학적 문제해결) 1-2. 과학적 문제해결 현장에서는 실제 현상으로 부터 출발해 바닥부터 원인 캐기와 이것을 해결하는 방법으로 결정된다。 결국 현장에 관해 사실을 더욱 중요시하고 있다. 예를 들면 아무리 많은 데이터를 보여줘도 데이터로부터 현장실제 모습을 파악하기란 힘들다. 또한 불량이 발생하더라도 데이터로부터 안다는 것은 이미 그 대책이 늦어져버린다. 그로 인해 불량 근본원인도 파악 못한 채 재발방지대책 효과를 거두지 못한 경우도 있다. 그것보다도 현장의 진정한 모습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것은 현장, 그 장소에서 불량이 나더라도 즉시 그곳에서 포착해야만 근본원인을 용이하게 파악하고 즉시 대책수립이 가능하다. 도요타 생산시스템은 현장에 관한 데이타보다도 사실을 중요시하고 있다. 문제 발생시 원인을 충분히 밝혀내지 .. SPC 초보적 이해3(관리와 관리도) "관리란 무엇인가" 너무도 많이 들어오는 얘기다. 그기다가 품질 관리라고 하는 얘기는 상투적이라고 할 만큼 흔한 얘기임이 분명하다. 하지만 문제는 이러한 질문을 했을 � 이를 명확하게 답할 수 있는 우리 관리자가 별로 없다라고 하는 게 또 우리의 수준임이 분명한 것 같다. 관리의 의미를 정확하게 알고 그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실천해나가는 것이 현재 우리 자동차 부품회사들이 만들어 가야 할 가장 시급하면 서도 중요한 숙제가 아닌가 생각한다. 일본 자동차 회사의 경쟁력은 어디에서 오는가 라고 하는 재밌는 얘기를 들은적이 있다. 그 얘기의 결론은 일본이 세계에서 가장 관리를 잘하는 사람들이고, 실제 제조의 현장에서 그게 실현되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우리 제조현장에서 작업표준이 유효하게 사용되어지고 있는가"라는.. 품질경영의 이해5(모토롤라는) 모토롤라의 품질혁신 추진사례 ⑴ 품질혁신의 추진과정 모토롤라의 60년 역사는 현대 통신기기의 발달사라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1969년 7월 아폴로 우주선의 선장이었던 닐 암스트롱이 달 표면에 첫걸음을 내디디면서 “이 작은 발걸음 하나는 인류가 이룩한 거대한 발걸음”이라고 외친 생생한 육성이 머나먼 달로부터 지구에 전송되어 전세계를 감격시켰던 것도 모토롤라의 통신기술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하였다. 1959년 창업자인 폴 갤빈이 사망할 당시 모토롤라는 군사, 우주 및 상업용 통신의 선두주자가 되었으며, 반도체 생산설비를 구축하고 일반 소비자용 전자산업으로 사세를 확장시켜 나가고 있었다. 로버트 갤빈 회장의 탁월한 품질리더십 1979년 시카고 시내의 한 호텔에서 개최된 3일간의 간부회의는 모토롤라가 품질혁신에.. 품질경영의 이해4(품질경영을 하는가) "QC에서는 우리회사의 품질문제를 다 알고있고, 그 원인도 알고 있는 것 같은데, 근데 왜 문제가 해결되지 않나요" .....지도하면서 품질직원과 나눈 대화다. "그런 문제까지 제입으로 말하기가 어렵습니다" ...........ㅠㅠ........ 직원의 항변에 가까운 호소다. "근데 품질문제가 생기면 그게 왜 QC의 책임입니까" "왜 QC에게 그럽니까....그렇다고 QC가 그 문제를 해결 할 수 있습니까" "그러니까 문제를 해결 해야 할 부서가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는 것 아닙니까".... 그렇다 불량을 만들지도 않은 품질부서에 품질의 책임을 묻는 경우가 일반적 일것이다. 그럼 품질부서는 어떻게 대응하는가. 원인과 대책을 조사해서 보고하세요......... 근데, 문제는 여기서 부터 출발이다. 어느 누가 .. SPC 초보적 이해2(이상원인, 우연원인) 도대체 이상원인이 혹은 우연원인이 무엇이란 말인가..... 품질공부 초기에 한 동안 나의 뇌리 속에 답을 구하지 못하고 맴돌던 아주 중요한 단어였다. 이상원인이란 이상한 원인일것 같고, 우연원인은 우연한 원인이라 말인가? 내가 생각하기에 최초로 이름을 붙힌 누군가가 참으로 대단하다는 생각이든다. 일본에서 명명한 것 같지만... 이상함과 우연함 그의 차이는 도대체 무엇이란 말인가. 영어로 이상원인은 special cause 이고 우연원인은 common cause이다. 많은 사람이 혼돈을 가지고 있는 단어이나 영어 원본을 보면 이해가 상당히 될 것이라고 생각들기도 한다... 어느 것이나 다 비슷한 용어인 것 같은데 어떤 원인이던 그게 뭐 그리 중요하단 말인가. 오늘 아침 출근길에 오랜만에 친구를 만나 얘기 .. 품질경영의 이해3 품질관리란 무엇인가 품질관리(quality control)란 무엇인가라고 하고 서술하는 경우의 상투수단 이지만 품질관리를 “품질”과 “관리”로 분리해서 생각해 보자. 우선 품질에 대해서 설명을 하면 품질이란 보통 만든 물건의 질의 상태를 일컷는 경우가 많은 것 같다. 그것은 역사적으로 품질관리가 제조현장에서 발달해 온 영향 때문이다. 또 그것은 물건이라고 하는 형태로 존재해있고, 품질의 좋고 나쁨을 말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물론 현재에는 물건이 아닌 경우의 품질관리 대상이 많은 것은 두말 할 나위도 없다. 먼저 물건의 품질에 대해 생각 해보자. 여기에도 두가지 사용법이 있다. 하나는 양품과 불량품이라고 하는 경우의 품질이고, 다른 하나는 고급품과 저급품이라고 하는 경우이다. 이 두가지의 의미를.. 이전 1 ··· 77 78 79 80 81 82 83 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