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품질/품질경영

추적성 프로세스

시스템을 운영하는 데 있어서 묘미는 항상 고객과 관련된

프로세스, 데이터, 분석결과를 가지고 시정조치/예방조치를 하는 데 있다.

 

품질하시는 분이라면 “추적성”에 대한 프로세스를 이해하고 파악할 수 있어야

다른 프로세스를 이해할 수 있고 접근할 수가 있다.

 

추적성이라고 하는 것은

1.발생된 부적합을 찾아서 시정 할 수 있어야 하고

2.만일 유출된 문제라면 검사과정의 문제를 확인 할 수 있어야 하고

3.왜 발생 했는 가를 알 수 있어야 시정조치가 가능 해진다.

4.만일 개방의 문제라면 개발과정의 문제까지 추적 될 수있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시정조치가 가능하게 할려면 발생위치에서 발생원인에 가까운 factor의 현상을

알 수 있는 raw data를 알 수 있어야 한다.

검사 data에서, 공정 조건관리 data에서, 부적합 보고서에서.......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예)(추적성)프로세스

 

입력사항            활동                    출력사항

 

고객불만서     (고객불만접수)          고객주문접수대장

                 (구두포함)              부적합보고서 

 

최종검사성적서   (최종검사)             부적합보고서

 

 

공정검사성적서   (공정검사)             

작업일보         (공정관리)            주/월간보고서, 작업표준, 관리계획서

 

설비점검기록     (장비관리)              보전활동기록

 

수입검사성적서   (수입검사) 

 

계측기점검표      (계측기)                    MSA

 

공급자평가보고서 (공급자평가)

 

설계/개발검토기록 (설계 및 개발)         설계/개발계획서  

 

 

부적합사항이나 부적합품이 발생되었을 경우

근본원인을 끝까지 추적하기 위하여 파악된 프로세스를

이른바 <추적성 프로세스>라고 하는 것이다.

 

각 단계에서 근본원인을 파악할 수 없는 경우

다음 단계 즉 제품실현에 있어서 이전 프로세스로 접근하여

근원적 원인이 잘못 설정되어 부적합사항이 발생될 수 있었다는 것을

추적한다는 것이다.

 

이 <추적성 프로세스>야 말로 고도의 관리 기법임과 동시에

관리 능력을 입증할 수가 있으며 시스템이 수립되어 있지 않고서는

결코 부적합사항을 추적할 수 없는 것이다.

 

추적성 프로세스는 형사 콜롬보의 심정으로 만들어라.

억지를 쓰지않고 무력을 사용하지 않고

오로지 시스템 접근 방법으로 완전하게 범인을 옭아매는

그런 심정으로 만들어야 한다.

'품질 > 품질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품질혁신과 기업경쟁력  (0) 2022.12.12
품질의 변화는 어떻게?  (0) 2022.12.12
품질팀이 해야 할 일  (0) 2022.12.09
품질경영과 공정관리  (0) 2022.12.09
QSB 하면서  (0) 2022.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