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품질/개발품질

FMEA5판 구조분석

FMEA5판 구조분석에서 가장 중요하게 변경되고 적용되어야 할 것이 구조분석이 아닌가한다. 이는 FMEA 작성이 분석을 해야 할 대상을 구조적 관점에서 명확하게 정의를 하라고 하는 것인데 가장 중요한 목적은 고장분석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는 것으로 볼수 있다.

 

지금까지 FMEA 작성시 고장분석인 고장형태, 고장영향, 고장원인을 체계적으로 정의내리는 데는 기본적으로 어려움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개인적으로든 조직적으로든 작성된 고장형태가 옳은 가에 대한 논란은 항상 존재하고 있음은 우리가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였으며 이번 5판의 구조분석을 통해 이 문제를 해결 할 수 있을 것 같은 기대를 가져본다.

 

1. DFMEA에서의 구조분석

   - 기본적으로 제품개발의 기업위치에 따라 다르게 구성될 것임

   - 개발품목의 구조와 고장형태는

     : 시스템-서브 시스템-콤포넌트-파트로 구성됨

     : 기업의 위치에 따라 Focus element 지정(상위구조-Focus element-하위구조)

     : Focus element의 고장을 고장형태로 지정함

   - 가스 라이타를 예로 들어보면

     > 예1 : 상위구조(라이타)-Focus element(착화부)-하위구조(불꽃생성부, 연료공급부)

     > 예2 : 상위구조(착화부)-Focus element(불꽃생성부)-하위구조(힘게이지, 부싯돌, 스프링)

     : 위의 예는 기업의 위치에 따라 구조분석의 level이 구성됨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자동차 부품회사는

       예2의 형태를 대부분 가지게 될 것임

   - 따라서 F.E를 대상으로 고장형태를 정의 내리면 상위구조의 고장은 고장영향, 하위구조의 고장은

    고장원인으로 연결될 것임

 

2. PFMEA에서의 구조분석

   - 기본적으로 공정흐름에 의해 결정됨

   - 공정흐름의 구조와 고장형태는

     : 공정명-공정단계-공정구성요소(4M)으로 구성됨

     : 이중에서 공정단계를 Focus element 지정

     : 공정단계를 공정을 관리가 필요한 최소한의 단계로 구성해야 하며 이는 관리계획이 작성되어야 하는

      수준임

     : Focus element를 대상으로 고장형태 지정

   - 라이타 조립라인을 대상으로 한다면

     > 예1 : 상위구조(착화부 조립)-Focus element(힘게이지 조립)-하위구조(이동실린더, 압착실린더, 지그)

     > 예2 : 상위구조(힘게이지 사출)-Focus element(사출성형)-하위구조(사출기, 금형, 가공유)

     : 위의 예는 조립라인과 가공라인을 예를 든것으로 기업의 생산구조에 따라 결정될 것임

   - 따라서 F.E를 대상으로 고장형태를 정의 내리면 상위구조의 고장은 고장영향, 하위구조의 고장은

     고장원인으로 연결될 것임

 

위와 같은 방법으로 고장분석을 가능하게 함으로서 제품에 따른 구조분석을 표준화 함으로서 그에 따른

고장분류의 표준화도 충분히 가능할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