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론적으로 FMEA의 구성과 적용의 논리는 품질향상을 위한 핵심적 수단임은 명확함
> 하지만 대부분의 FMEA 작성기업은 유효성을 확보하고 못하고 있는 것도 엄연한 사실임
> FMEA의 목적은 설계표준과 공정표준을 변경함으로써 도면과 공정관리 수준을 향상시키는 것임
> 제품개발 혹은 변경에 앞서 현재 표준의 위험을 객관적 평가를 FMEA를 이용하여 하는 것임
> 설계표준과 공정표준에 대한 평가를 위해서 고장정보(영향, 형태, 원인)와 표준의 연계성을 확보하고 있어야 함
> 특히 제품의 고장정보와 공정의 고장정보의 연계성이 매우 중요함
…이는 공정에서의 고장원인을 통제함으로써 고객에서 발생하는 고장영향을 통제 할 수 있다는 것임
3. FMEA 작성의 현실은
1) 작성자에 따라 FMEA 작성의 내용이 다름..
..작성자에 따라 설계 혹은 공정에서 관리 Factor가 달라진다는 것으로 우리회사의 품질표준에 대한 유효성을 확보하지 못하게 됨
2) DFMEA와 PFMEA의 연계성 확보가 안됨
.. 결국 고객에서 발생하는 품질문제를 공정에서 제어하지 못하는 것임
3) PFMEA와 Control Plan을 비롯한 제조공정의 품질표준으로의 연계성 확보가 안됨
.. PFMEA에서 위험으로 평가한다고 해도 구체적으로 무엇을 개선해야 할지 세부적 정의가 어려움
4. 이 문제해결의 방안은
1) 위문제의 해결방안은 고객불만으로 부터 설계, 제조공정의 관리 Factor까지의 정보의 연계성을 가지고 있어야 함
2) 모든 관리 Factor에 대한 현재 관리방안에 대한 표준을 활용 할 수 있어야 함
3) 이러한 요소들이 표준화 혹은 DB화 되어있어 누구든 자동적으로 가지고 올 수 있는 정보화 시스템이 구성되어야 함
4) 결국은 기업의 설계, 품질에 관련한 기준(표준)정보의 DB화와 FMEA 정보화 시스템의 연결구조가 요구됨
5) FMEA정보화 시스템 이전에 현재 기업의 고객으로 부터 공정까지의 고장정보, 고장과 연계되는 관리표준의 DB화가 요구됨
'품질 > 개발품질' 카테고리의 다른 글
FMEA 5판 (0) | 2022.12.29 |
---|---|
신뢰성 시험의 유형 (0) | 2022.12.26 |
FMEA 전산 프로그램을 검토하며 정보화의 방향은 (0) | 2022.12.20 |
DFMEA와 PFMEA는 왜 구분이 되지 않는가? (0) | 2022.12.20 |
DFMEA 작성, 쉬워야 한다 (0) | 2022.1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