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품질/품질경영

제안제도

앞으로는 좀 더 다루기 쉬운 과제를 하나씩 생각을 정리 해보는 것이 좋을 것같아

생각나는 데로 올려본다.

 

우선 제안제도의 성공적 추진방법이다.

"위원님 제안을 성공시킬 수 있는 방법을 가르켜 주십시요".....흔히 듣는 질문이다.

"우리회사 직원들은 머리가 썩었어..돈을 주면서 제안하라고 해도 하지않고..실패했습니다"

 

"ㅎㅎ 제안이 잘안되는 원인이 있겟지요, 그원인을 찾아서 해결해보세요.

답은 그기에 있습니다" 내가 하는 말이다.

"그런 것 말고 방법을 주세요...그런게 컨설팅 아닌가요..."

이쯤 가면 할 수 없이 그회사 제안 운영의 문제를 내가 정리해주어야 한다.

 

1.제안의 목표는 있습니까.

2.운영의 프로세스는 단순하고 빠르게 조치가 됩니까

3.자부서, 자신의 일중심 제안이 제출 됩니까

4.제안검토, 실시의 업무가 한부서에 집중되지 않습니까

5.사소한 제안이 우대받고 있습니까.

6.제안에 대한 포상은 이루어집니까.

7.각 부서장은 자부서의 제안활동에 대한 책임의식이 있습니까.

 

이런 측명에서 질문을 해본다.

1번을 제외하면 대부분에서 문제가 있다.

이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제안을 성공시키는 비결이 될 것이다.

 

하지만 핵심적 문제는 제안을 보는 경영자의 사고가 가장 중요하다.

왜 제안을 해야하는가

혹은 제안을 성공시키기위한 전략은 무엇인가......

이런 부분에 대한 생각이 매우 부족하다.

한국의 대부분 회사의 제안 활동은 실패했다고 본다....사실이다.

 

제안의 목적은 무엇인가

종업원의 자발적인 작은 참여다.....

왜 참여해야 하는가

참여는 주인의식을 만들고 자율성을 가진 직원으로 만들어 간다.

이 작은 참여가 제안의 제출시부터....완료시 까지 업무의 스트레스로 온다면 이게 자발성을 가지겠는가.

특히 문제를 찾고 제안하는일이 습관이 되지 않은 곳에서 그렇게 되겠는가.

우리 대부분의 회사는 정말 스트레스다.

매월 우수제안이라며 효과금액이 어떻고 한다....

제안의 효과파악은 정확하게 되었는가.

누가 그렇게 효과 파악을 정확하게 할 것인가..그많은 제안을...

평가결과에 대한 조치는 하고 피드백은 했는가....

갈수록 스트레스다...

매월 제안 목표달성은 했는가..

지난번에 불채택된 제안을 또 다시 올려본다....

 

그냥 단순화 시키면된다.

부서장이 책임지고 자부서의 일을 개선하면 되는 것아닌가.

그냥 각 부서장이 채택시키고..알아서 실시하자.

간단하게 정리해서 포상금만 받아내자.

얼마나 잘했나 그렇게 따지지 말자.

그냥 쉽게 참여하고 간단하게 실시하고 포상금받자...

그리고 그 결과에 대해서는 부서장들이 책임지자.

어떤제안이 좋은 제안인지 모르는 부서장이라면 직위를 스스로 떼어버리자.

그러면 될 것아닌가..

적어도 처음 제안을 시도한다면........ 

'품질 > 품질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세스 구성에 대해..  (0) 2022.11.24
TQM의 도입5-TOP의 리더쉽  (1) 2022.11.24
TQM 연재5:시작전에 이것만은.  (0) 2022.11.24
TQM연재4:시작하기 전에  (0) 2022.11.23
TQM연재 3...행동양식  (0) 2022.1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