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동차 산업

현대차는.....

현대 자동차는 경쟁력 있는 회사입니다. 아날로그 기술의 정수인 자동차 산업의 기술적인 특성을 고려 하면, 현대는 독일의 벤츠 나 BMW의 적수가 되지 못하지만, 미국 GM같은 회사 보다는 훨씬 경쟁력이 있는 회사고,

 

시장여건도, 불 경기 때에는 단순히 브랜드를 찾기 보다는 가격대비 효용이 높은 자동차를 찾게 되어 있으므로, 현대 자동차는 가격대비 효용이라는 측면에서 경쟁력이 높은 자동차이지요,

 

일본의 자동차도 가격대비 효용이라는 측면에서 매우 우월하지만, 높아만 가는 엔고로 채산성이 악화 되어 판매가를 올릴 수 밖에 없게 되어 있으므로 현대자동차로서는 충분히 경쟁 할 수 있는 상태로 될 것 입니다.

 

또한 아날로그 기술의 특성상, 인도나 중국의 자동차 회사가 기술적으로 현대와  경쟁하려면 앞으로 10년 이상을 노력해도 될 똥 말 똥입니다.

 

중국이 지금 GM등으로 부터 기술자를 받아 들인다 해도, 아날로그 기술 특성상, 자동차는 설계로 부터, 소재 생산, 부품 가공 과 조립 등 어느하나만 잘못되어도 전체 자동차의 품질을 보장 할 수 없는 것입니다.

 

단순히 설계, 가공 조립 기술자를 GM으로부터 충원한다 하여도, 플로어에서 부품 하나를가공하는 작업자의 수준이 부품의 품질을 결정하고, 또 이러한 부품의 소재를 생산하는 연관 업체의 기술수준이 그 소재의 품질을 결정하고, 이렇게 서로 서로 연관된 제조 시스템 전체의 기술이 올라 가지 않으면, 자동차의 품질은 올라 갈수 없는것이고, 이것이 아날로그 기술 제품의 특징이고, 아날로그 기술의 대표적인 분야가 자동차 분야 입니다. 이러한 제조 시스템 전체의 기술 수준을 업그레이드 시키려면 장기간 지속적으로 관련 산업이 발전해야만 가능한 것입니다.

 

미국 GM의 경우 엔지니어의 평균 기술수준이 현대의 엔지니어보다 높을지 몰라도, 직접 생산에 종사하는 노동자의 작업 수준은 현대의 그것 보다 훨씬 낮은게, GM이 현대와 경쟁 할 수 없는 가장 결정적인 단점이랍니다.

 

또한 단지 가격만 싸다고 소비자가 선뜻 구매 할 수 없는 게 자동차라는 반 자본재의 특성이랍니다. 품질 수준이 뒷받침 되지 않으면 잦은 고장 등으로 라이프 싸이클 비용이 증대되므로 소비자가 등을 돌릴게 뻔하고, 특히 자동차의 안전은 생명과 직결되므로 어느 정도 최소한도의 품질수준이 되지 않으면 소비자로부터 외면 받게 되어 있답니다. 따라서 중국이나 인도는 당분간은 현대 자동차의 적수가 될 수 없습니다.

 

미국의 경우 현대 자동차의 주 고객층인 흑인 히스패닉계 의 소득수준의 저하로 고객층이 엷어 지는 만큼, 소득이 줄어든 백인계 중류층이 쉬프트 다운되어 고객층을 새롭게 형성 할 수 있다고 봅니다.

 

상기와 같이,  아날로그 기술 특성상 그리고 제반 시장 여건을 감안 하면, 현대 자동차는 앞으로 당분간 지속될 세계 경기가 침체 와중에서 생존력이 매우 높은 회사로, 

 

만일 정부의 지원이 배제 된 상태에서 경쟁 한다면, 그리고 세계에서 3개의 자동차 회사만 살아 남는다면 그 3번째가 현대가 되지 않을까 싶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