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요타 標準의 의미
標準은、最高의 組織的知識
선배의 경험을 지혜로 활용 할 수 있게 하는
最高의 높이를 명시한 基準
장대 높이 뛰기의 Bar와 같이、앞 사람이 뛴
後輩가 뛰어 넘어야 할目標
社員의 挑戦과創造를 끄집어 내는源泉
도요타는 변화하는 표준을 DNA로 가진 회사라고 정의 하는 것을 본적이 있다
나는 도요타 생산방식을 지속적 개선을 만들어 가는 회사라고 정의 내린다.
개선이란 무엇인가?
이는 분명히 표준의 변화라고 정의 내려야 할 것이다.
그러면 표준이 없으면 개선이 없다라고 말 할 수 있다.....그렇다....사실로 그렇다....
우리는 너무도 표준의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한다
따라서 개선했다고 수없이 많은 날은 있지만 그것을 현장의 공정의 표준으로 활용 한 경우가
도대체 얼마나 될까......
6시그마니 개선 활동이니 많이 했는 데...
"그렇게 만들어진 개선의 결과들이 어디에 있나요?"
"관리계획에 표준화 되었나요"
"......"
"6시그마 발표 파일에 여기저기 널려 있겠지요"
"발표후 우리의 지식으로 변화를 했나요"
"........................"
며칠전 강의를 시작하는 데......마카펜이 잘 나오지 않았다.....
마카펜을 던지면서 물었다
"이게 뭡니까".........
"불량입니다"
"불량은 식별하여 격리해야 하지요....그래서 멀리 던졌습니다"
"그런데 왜 이런 불량이 발생했나요"
"미리 준비를 하지 않아서 그렇습니다"
"그러면 다음에 재발하지 않을건지 다음 강의 와서 확인 하겠습니다"
"자신있나요" ..
".........................."
"어떻게 해야 하나요"
"표준화 해야 하겠습니다" 하고 말한다
"그렇습니다. 강의 준비표준이 있어야 하겠지요"
그때야 3색의 마카펜을 가지고 와서 화이트 보드에 놓고간다....
미안한 듯한 미소를 지으며..............그렇다.......표준화다...........
'생산 > 도요타 생산방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요타 생산방식 소개19(가동율) (0) | 2022.11.11 |
---|---|
도요타의 경쟁력4:문서와 DNA (0) | 2022.11.11 |
도요타의 경쟁력2:강점의 요인 (0) | 2022.11.11 |
도요타의 경쟁력1:강점 (0) | 2022.11.11 |
도요타 생산방식 소개18(능률과 효율) (0) | 2022.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