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의 이야기

우리 회사의 변화는..(2)

내가 생각하는 기업의 경쟁력 향상 전략의 방향은 KAIZEN 이라고 생각한다.

 

이 KAIZEN 이라는 단어는 일본에서 만들어져서 영어사전에 까지 등재되었다고 하는데

왜 그럴 수 있는 것인가!!

 

 우리 말로 하면 개선이다. 과연 개선 만이 기업경쟁력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느냐 하는 것이다.

 

원래 개선의 영어 단어는 IMPROVEMENT아닌가, 그럼 이것과 KAIZEN의 차이는 무엇인가

 

 

 다시 정의를 내려본다

 

KAIZEN=CONTINOUS IMPROVEMENT 이것을 지속적 개선이라고 한다.

 

한번 생각해 보자. 우리는 이단어를 수도 없이 들었을 것이다. 왜냐 하면 QS, TS 이런 시스템이

요구하는 가장 기본적 목적이 바로 이것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우리 회사는 과연 지속적 개선이 되는 회사인가 정말로 반문과 반성이 필요하다고 본다

 

혹자는 그러고 있다고 말 할 것이다.

 

항상 개선 해야 할 내용들을 찾아서 개선으로 연결 시키고 있으니 이게 지속적 개선이 아닌가 하고....

 

 

 내가 10여년전 돌아본 일본 중소기업들의 모습은 정말로 존경스럽다고 하고 싶었다.

 

물론 좋은 회사만 방문했었겠 지만......우리의 모습과는 너무도 다른 모습이었다.....

 

 

  1.휴게실 벽면에 붙어 있는 분임조 활동 회의 진행내용들

    --현상파악, 목표설정..........A0 전지에 회의 하면서 분임원들이 쓰놓은 글들이....

       그것도 점심시간, 일과후 분임원이 모여서 회의 한 것이라고 하니..

 

 

  2.정말 자율적으로 참여 하는 제안 활동의 결과들

    --인당 월 5~10건의 제안이 이루어 지고 있다고 한다...그렇게 개선 할게 많은가??

 

 

  3.라인 마다 보여지는 안돈들(생산 현황 알림판)은 거의 100%에 육박 하고 있었고

 

 

  4.간이 자동화를 위해 장난감 같은 자동화 연습을 하고 있는 직원들

    --한명을 줄이는 데 투자금의 목표는 200만엔이라고 한다

 

 

  5.한쪽에는 작업자들이 모두 모여서 라인의 품질 문제에 대해 토의를 선채로 하고 있다.

    --목표달성을 위해.................................간밧데를 위치며.....

 

 

 우리하고 차이가 무엇인가.

 

나는 이것이 지속적 개선이라고 생각한다.

 

매일 매일 조금씩 개선 해나가는 지속적이라고 하는 의미가 생명이다. 

 

조금씩이란 0.1초를 줄이고 1원을 절감하고 조금더 의견을 조정하고.....이것이다....

 

이것이 생명만큼 중요하다......왜인가???

 

이러한 활동은 모든 작업자, 관리자, 경영자 모두가 하는 것이다.....이게 TOTAL이다

 

매일 1원을 절감하기 위해서 고민하는 그들의 사고의 습관은, 행동의 습관은 과연 무엇이겠는가

 

그것도 모두 나의 일에서 우리 반의, 우리 과의 일 속에서 찾아내고

스스로 고쳐가는 것이다...................

 

 

 과연 무엇이 그들로 하여금 그러한 습관의 인간으로 만들어 냈는가??

 

무엇이 일본 그들이 인간존중의 경영을 하고 있다고 그렇게 소리 칠수 있도록 만들었는가.

 

 

 결론은 자명하다.

 

우리 구성원 모두가 나의 일, 나의 공정, 나의 설비에 아주 세밀한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그런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다.

 

효과가 없다며 이것도 제안이라고 하느냐고 핀잔을 주는 관리자......이런 관리자 부터 정리되어야 한다

 

옛날에 어떻게 장인들이 만들어 졌나를 잘 생각해 보자...

 

 현재 우리 관리자들은 우리의 현장에서 장인이 나타날 수 있는 그런 환경을 제공하고 있는지...

 

 

 나는 우리의 현장에서 만들어지는 장인들을 피터드래커 박사가 말한 지식근로자라고 생각한다.

 

문제는 하루아침에 만들어 지는 것이 아니지 않는가

 

그 출발을 우리는 어떻게 만들어 갈 것인가가 중요하다.....이게 습관의 문제다....

 

다시 말해 이런 환경을 만들어 줄 수 있는 기업의 문화가 있어야, 습관을 위한 출발이 되지 않겠는가

 

 

 오늘의 핵심은 지속적이 되기 위한 습관을 만들어야 하는데.....

습관을 어떻게 출발 할 것인가이다.....1000만원 제안보다 100원제안이 더 중요하다....

 

이것이 습관을 만든다........................분명하다....................정말로 분명하다....

 

시간이 필요 한것도 분명하다..급하게 얻을 수 있는 게 절대로 아니다

 

 

 우리 경영자, 관리자들이 진실로 맘에 세길 수 있다면 좋겠다...

 

 

....다음 편에서는 좀더 구체적인 사례로 정의를 해보겟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