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小考

일본의 잃어버린 20년

한낮에 셔터내린 日상점거리..韓도 '가까운 미래'

 

[소비절벽을 넘어라]일본 도쿄·고베 상점거리 르포..생산가능인구 감소·고령화로 가게 문 닫은 '셔터도리' 일본 곳곳에서 발생, 한국은 20년 전 일본과 판박이

[머니투데이 도쿄·고베(일본)=박경담 기자] [편집자주] 한국경제가 새해부터 거대한 변화의 파고에 직면한다. 바로 인구절벽과 그에따른 소비절벽이다. 인구절벽은 15세부터 64세까지 이른바 생산가능인구가 줄어드는 현상인데 한국은 올해가 그 원년이다. 전문가들은 2012년이후 2%대 저성장이 인구절벽에따라 더 고착화될 수 있으며 특히 생산가능인구의 감소는 소비침체로 이어져 한국경제에 복합불황을 몰고올 수 있다고 경고한다. 한국이 일본처럼 잃어버린 20년의 장기저성장의 늪에 갇힐 것이라는 지적이다. 머니투데이는 일본의 사례를 통해 소비절벽의 원인과 현주소, 이를 극복하기위한 해법을 모색해본다.

[[소비절벽을 넘어라]일본 도쿄·고베 상점거리 르포…생산가능인구 감소·고령화로 가게 문 닫은 '셔터도리' 일본 곳곳에서 발생, 한국은 20년 전 일본과 판박이]

한산한 도쿄 스미다구 '키라키라타치바나 거리' 모습/사진=박경담 기자

땅거미가 지기 한참 전인데도 500m에 달하는 거리는 한산했다. 이곳의 상점 80여곳. 한집 건너 한집마다 셔터가 내려가 있었다. 녹이 슨 미용실 셔터에는 '영업시간 오전 10시~오후 9시'라고 적혀 있었다. 영업을 마친 게 아니라 폐점한 가게였다. 길 건너 담배가게 셔터에는 A4 용지에 '그 동안 감사했습니다'라고 써붙였다. 종이의 상태가 깨끗한 걸로 봐선 최근에 장사를 접은 것 같았다.

이 거리의 양옆으로 나뭇가지처럼 뻗어 있는 골목은 문 닫은 점포가 더 많았다. 세어 보니 3곳 중 2곳 꼴이었다. 문을 연 가게에도 손님은 드물었다. 그나마 반찬가게에만 사람들이 있었다. 대부분 유모차 손잡이나 지팡이에 의지해 점심 찬거리를 사러 나온 동네 할머니들이었다. 지난 달 13일 정오에 찾은 도쿄 스미다구 '키라키라타치바나 거리'의 풍경이다.

스미다구는 도쿄역에서 지하철로 여섯 정거장 떨어진 곳이다. 서울로 치면 성북구쯤 되는 위치다. 일본 사회가 이 지역에 붙인 다른 이름은 '셔터도리'다. 문 닫은 가게 거리라는 의미다. '반짝반짝'이라는 뜻의 원래 이름은 무색해졌다.

한산한 도쿄 스미다구 '키라키라타치바나 거리' 모습/사진=박경담 기자

마을 주민들은 10년 전부터 가게들이 폐업하기 시작했다고 한다. 스시집, 자전거포, 철물점, 문구점, 선술집 등이 지도에서 사라졌다. 동네 손님들이 나이 들면서 소비가 줄었다. 문구, 주류, 자전거, 외식 등 고령층들이 소비하지 않는 업종의 가게들부터 모습을 감췄다. 일본 전체 가계자산의 60%를 60세 이상이 노인이 갖고 있는 상황에서 젊은층이 윗세대 소비를 대체하는 것은 기대하기 어렵다.

일본 경제 황금기에 돈을 모으고 연금도 풍부한 이들과 달리 일본 경제 불황기인 '잃어버린 20년' 동안 경제활동을 한 30~50대는 '부모 세대'와 정반대 상황이다. 노동력을 제공하는 동시에 주요 소비 계층인 생산가능인구(15~64세)는 1996년부터 줄었다. 그리고 10년 전부터 총인구 감소가 나타났고, 상점이 문을 닫는 현상도 본격화됐다.

개인이 운영하는 가게 뿐 아니라 마을이 공동으로 이용하던 기관이나 시설도 타격을 받아 왔다. 초등학교 두 곳이 폐교하면서 한 곳은 복지시설로 이용되고 있지만 나머지 한 곳은 비어 있다. 상인들이 저축을 하거나 돈을 빌리던 은행은 작은 오피스텔로 바뀌었다. 은행 바로 옆자리에 있던 주유소는 주차장으로 변했다. 하나둘 쌓인 사적 폐업은 사회 구성원이 함께 감당해야 할 공적 부담으로 전이됐다.

낮에도 인적이 드문 고베 다이쇼쇼지 전통시장 모습/사진=박경담 기자

반등의 계기가 없진 않았다. 2012년 도쿄에서 가장 높은 건축물인 스카이트리가 걸어서 5~10분 거리에 세워졌다. 634m 높이의 전파탑을 보러 사람들이 몰렸다. 하지만 스미다구 상점가는 방문객을 흡수하지 못했다. 스미다구 옆 행정구인 오오타구의 관광명소 아사쿠사에 빼앗겼다.

이곳에서 대를 이어 70년 넘게 장사한 코지마 안경점의 코지마 카즈타카(79) 사장은 "저녁 6시면 남아 있는 가게들도 문을 닫는데 셔터 내린 거리가 무섭다"며 "이대로 가게 되면 편의점밖에 남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달 15일 오후에 찾은 고베 다이쇼스지 전통시장도 상황은 비슷했다. 문 닫은 상가가 절반에 가까웠다. 1937년 손님을 맞기 시작한 이곳은 1995년 고베 대지진 이후 새 모습을 갖췄다. 하지만 통신판매 등 유통구조 변화와 함께 고령화, 인구 감소가 겹치며 손님이 뜸해졌다. 가게 매출이 줄면서 후계자를 찾지 못한 곳부터 셔터가 내려갔다.

시장에서 39년 동안 장사한 아지만 차 판매점의 이토 마사카즈(69) 사장은 셔터 내린 상점 현황을 박스 배출량에 빗대 설명했다. 그는 재활용 목적으로 2004년부터 각 상점이 내놓은 박스를 셌다. 상품 공급이 가장 활발한 12월 기준으로 2004년 2만2420개였던 박스는 지난해 1만4160개로 줄었다.

고베 다이쇼쇼지 전통시장에서 39년 동안 아지만 차 판매점을 운영한 이토 마사카즈(69) 사장이 2004년부터 집계한 시장 박스 배출량 자료/사진=박경담 기자

셔터도리는 도쿄와 고베 뿐 아니라 일본 전역에서 벌어지는 현상이다. 지방으로 갈수록 더 심하다. 지역에 주유소가 없는 주민들은 수십 킬로 떨어진 인근 도시로 가야만 한다. 집 근처 상점들이 없어져서 교외 대형마트에서 생필품을 잔뜩 사는 모습도 일반적이다.

일본 경제 전문가들은 1990년대 부동산 버블 붕괴 후 경제가 추락한 데 이어 인구구조가 달라지면서 소비도 정체됐다고 진단한다. 돈 쓸 사람과 쓸 돈이 줄었고 소비 여력 있는 사람도 미래에 대한 불안감에 지갑을 열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런 상황을 두고 복합불황, 디플레이션, 일본형 장기침체 등 여러 표현이 나온다. 한 마디로 말하자면 '엎친 데 덮친 격'이다.

한국은 올해 3년 연속 2%대 성장이 전망되고 생산가능인구가 줄기 시작하는 원년이다. 20년 전 일본과 같은 경로를 걸어가지 않으려면 다른 방책을 강구해야 한다. 우리는 준비돼 있을까? 자신 있게 답할 수 없었다.

'小考' 카테고리의 다른 글

4차 산업혁명과 '축적의 시간'의 진화  (1) 2022.12.27
한국경제...정운찬  (1) 2022.12.27
자율성과 성과  (0) 2022.12.23
건설설계sw 1위 기업  (0) 2022.12.23
엘빈 토플러  (0) 2022.1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