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deep look에서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제조 라인에 있는 설비가동율이 저조 합니다.
저조 원인을 분석 했서 향상 할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 해야 하는데
무엇이 문제인지 어떻게 분석 해야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샘플로 설명 부탁드립니다.
우선 이렇게 방문해주신 것에 감사드립니다.
한동안 글을 올리지도 못하고 했는 데........이제 힘을 좀 내야 할 것같네요...
우선 회사의 설비가동율에 대해 많은 얘기들은 있지만 실제로 성과를 거두기는
어려운 것같다....
어떻게 분석할 것인가도 중요하지만 분석의 결과를 설비에 적용해야 하는 데
이는 더 어려운 문제이기 때문 아닌가 한다.
우선 가동율을 들여다 본다면 용어에도 혼란이 있다
1.稼동율: 설비의 능력에 대한 영업량(생산 요구량)이다.
일반적으로 우리 중소기업의 지난달 가동율이 50%입니다.......라고 하는 개념이다.
이는 생산부문의 능력이 아니고 영업부문의 능력을 말하는 것이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설비가 가동시간 될 수 있는 시간(21.5시간)을 기준으로 하고
실제 설비에 부하는 가한 시간의 비율로 보면 될 것이다.
2.可동율: 설비를 운전해야 하는 시간에 설비를 운전 할 수 있었느냐하는 값이다.
이를 다른 말로 설비종합 효율이라고 한다.
이는 전적으로 생산부문의 관리능력을 평가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설비 효율이란 주어진 시간에 만들 수 있는 이론적 생산 수랑과 실제 생산수량과의
비율이라고 하면 된다.
혹은 주어진 시간과 실제 생산량을 만들어 내는 데 필요한 이론 시간의 비율로 말해도 된다.
문제는 효율의 계산은 간단하게 계산 할 수 있으나 개선을 위한 분석에는 문제가 있다.
이론과 실제의 량에는 분명차이가 있는데 이 차이를 만드는 누수된 시간을 찾아내는 것이
중요하다 하겠다.
우선 설비 움직임을 분석하는 데 필요한 시간들을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1.조업시간:설비운전에 주어진 총시간이다.
2.부하시간:실제 설비에 부하가 주어진 시간으로 조업시간에서 계획정지 시간을 뺀 시간임
----여기서 계획정지는 교육, 정기청소, 회의 등으로 생산부분의 능력과는 거리가 있는
회사 운영상 필요한 비가동 시간이다.
3.가동시간:부하시간에 여러가지 원인으로 인해 설비가 가동되지 않은 시간을 뺀 시간이다.
----설비가 가동되지 않은 시간을 비가동 시간이라고 하는 데...중요하다...
대표적인 것으로는: 설비고장, 결품, 품종교체, 작업대기, 품질문제, 등으로서
관리자의 관리능력의 문제로 발생되는 시간이고 이시간은 필히 작업일보등에
정지시간이 기록 되도록 해야 한다.
4.실동시간:실제로 제품을 만드는 데 소요된 시간이다.
----계산방법은 한개를 만드는데 소요되는 이론시간에 생산량을 곱하면 된다.
가동시간과 실동시간의 차이가 발생하는 데 이를 성능 저하시간이라고 한다
이는 작업자 귀책으로 발생하는 시간으로 작업일보에 기록 할 수 없는 작은 비가동 시간들
이다.
5.양품가동시간:이는 실동시간에 양품율을 계산해서 곱하면 된다.
설비종합효율=시간가동율 * 성능가동율 * 양품율인데.......
1. 시간가동율은 부하시간에 대한 가동시간의 비율이고 관리자 귀책이다.
2. 성능가동율은 가동시간에 대한 실동시간의 비율인데 작업자 귀책이다.
3. 양품율은 1-불량율이다.
가동율의 저하 요인이
1. 영업량의 문제인지
2. 관리능력의 문제인지
3. 작업자의 문제인지
4. 불량의 문제인지 부터 아는 것으로 부터 출발 하는 것이다.
다음은 비가동의 문제는 작업일보에 기록된 내용으로 추적이 가능하고
성능저하 시간은 실제로 자세히 현장을 분석하여서 찾아야 한다.......................
답이 되었는지 모르겠습니다
추가로 필요하면 또 질문해 주세요....
'생산 > 생산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BOM에 대해 (0) | 2022.11.23 |
---|---|
현장의 모습을 1 (0) | 2022.11.11 |
[스크랩] [프로젝트 관리] 공정 관리... (1) | 2022.10.27 |
공장관리5(관리의 실천2) (0) | 2022.10.21 |
공장관리4(관리의 실천1) (0) | 2022.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