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품질/품질관리

SPC와 Data 수집

과거 수작업으로 SPC의 관리도를 작성할 시는 검사 DATA가 적어서 걱정이었는 데, 근래오면서 Big data를 비롯한 Data 수집에 대한 환경이 급속도로 변경되고 M.L, AI에 의해 자동으로 원인을 알려주고 제어도 한다고 하니 과연 SPC가 필요한가하는 의문부터 드는 시간들이 도래 했다..

 

특히 많은 질문이 오는 것은

1. 요즘은 전수검사가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은데, 전수검사를 통해 모든 부적합의 검출이 가능한데 과연 통계적 개념의 SPC는 필요한가? 

2. 수초 혹은 수십초에 발생하는 전수검사의 타점의 추이를 본다면 앞으로 문제가 발생 할 가능성이 있ㄷ고 하는 것을 예측할 수 있는 것 아닌가?

3. 관리도는 전수검사 Data로 그리는 것이 더 실질적이고 정확한 것은 아닌가?

물론 SPC가 가지고 있는 통계적 개념의 Data 해석이 필요한 영역이 충분히 있을것 같다고는 하나 좀 더 현실적으로 현재 짧ㄴ은 시간간격의 전수검사가 이루어 진다면 우리는 SPC를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하는 문제부터 생각해보자...

 

우선

1. SPC는 필요한가?

- 품질활동의 불량의 예방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며, 공정은 우연원인과 이상원인의 변동으로 산포가 구성되는 데 이를 구별하여 공정에서 조치를 취해야 한다는 것은 Big Data가 해결하는 것이 아니고 Data의 수집과 해석이 요구되는 영역이다

- 특히 중요한 산포의 원인요소인 우연원인으로 부터 이상원인을 찾아내기 위해서는 분명 관리도가 필요 할 것이다. 

- 그리고 그렇게 분리된 산포의 요인별로 그 증세를 분석할 수 있음은 문제해결의 지름길을 제공 할 수 있을 것이다.

- 따라서 Big Data 시대에도 SPC는 필요하다고 생각되어진다.

 

2. 전수 Data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 얼마전 한회사에서 전수검사Data를 이용하여 관리도를 그려서 가지고 왔다.. 이것을 어떻게 해석해야 합니까????

하루에도 수백개의 타점이 찍히고 수십개의 관리이탈이 나타나고, 관리선은 스펙선을 벗어나있고....

내가 물어본다....몇개씩 모아서 평균해서 타점하지요?..

>>>아니 그럴려면 왜 전수검사하나요?....

>>>전수를 찍어야 정확하게 타점의 추이도 볼 수 있으며 그래야 미리 조치를 하지요 ....

 

3. 무엇이 중요한가?

- 앞서 우연원인의 산포로 부터 이상원인의 출현을 알아야 한다고 했다..

 1) 가장 중요한 것은 우연원인의 산포를 결정하는 것이다... 그것도 모집단의 우연원인 산포를 결정해야 한다...

    배운대로 우연원인은 공정이 안정상태에 있을 때 그 공정이 가지는 산포의 한계이다.

    그리고 우리가 하는 타점 하나, 하나는 우연원인의 산포를 대표 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런데 약 몇분동안 수집된 10개의 Data는 우연원인의 산포라고 할 수있는가?????

    >> 전혀아니다..

    우연원인의 산포를 알기위해서는 Sub Group의 성격을 대표할 수 있는 Data가 수집되어야 하는데 이는 성격이 없는 Random Data가 수집되어야한다.. 이 방법은 적절한 샘플링이 되어야 한다...

   >> 물론 전수Data를 이용해서 전체의 산포도 알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경우 이상 Data가 포함 될 수도 있고, 타점의 시간이 중요한데 그 해댱군의 생산이 완료되는 시점에 타점 될 것이다.. 이는 결국 예방이 불가함을 의미한다..

 2) 결론적으로 군내의 Data는 우연원인을 평가 할 수 있는 초기연구의 랜덤 샘플 Data가 되어야 하고 군간에서 이상을 발견 할 수 있도록 Sub Group을 정하고 군간의 단위로 타점이 나타날 수 있도록하여 매 군간에서 이상발생이 발견되도록함으로서 조치가 가능 할 수 있도록 할때 예방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4. 관리도 타점의 추이는 예방을 가능하게 하는 가?..

물론 가능 할 수 있다. 하지만 추이로 나타나는 런, 경향이라고 하는 것도 결론적으로 추이를 보고자 하는 것이 아니고

정상적 상태에서 나타날 수 없는 타점이 발생했음을 알려주는 수단이라고 해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든다면 두사람이 가위, 바위, 보를 하는 데.. 한사람이 7번을 연속해서 이기는 경우가 존재 하겠는가??? 물론 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런 경우가 생기는 것은 무엇인가 다른 조건이 적용되었기 때문에 가능할 것이다.. 우리는 이것을 이상이라고 한다...

그런데 짧은 시간(분단위)에 얻어지는 연속 Data는 유사한 값을 가질 확율이 많다.. 이것은 공정의 이상발생과는 관계가 없는 지극히 당연한 우연산포다.. 따라서 이런 Data로 이상을 판단하는 것은 절대적 오류를 만들 것이다...

예를 들어 전수 Data가 10, 10, 10, 10, 10, 10. 10, 11, 11, 11,11, 11. 8, 8, 8, 8, 8, 8, 8, 8 이러한 형태로 나타난다면 런이라는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해야 하는 가... 결코 아니고 지극히 당연한 정상산포다.. 샘플링해서 10, 11, 8로 읽어야 한다...

'품질 > 품질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차의 결정..참고  (0) 2022.12.28
SPC와 샘플링  (1) 2022.12.21
SPC 검토에 대해  (0) 2022.12.21
관리도에서 이상상태의 표현방법  (0) 2022.12.16
spc 적용에 앞서  (0) 2022.1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