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주관리 (3) 썸네일형 리스트형 품질개선10(원인조사4-문제의 유형) 문제를 관리하기 위해서 가능한 모든 원인을 찾아내는 것은 기본적으로 초기 관리계획서를 만들기 위해서 수행되어야 하는 일이다. 따라서 5why와 같은 체계적인 원인 추구방법이 필요하고 이에 대한 합리적인 관리방법을 모색해 가는 것이 바로 FMEA이다. 이렇게 모든 원인들에 대하여 구체적인 예방과 검출의 방법을 규정도 하지만 현재 문제를 발생시킨 원인은 그 중에 무엇인가를 찾아내어야 하는 경우도 매우 많다. 이렇게 규명되어진 원인에 의해 문제가 발생되었다 함은 원인의 관리기준이 잘못되었던지 아니면 파렴치 불량이라고 하는 현장에서 지켜지지 않았던지 하는 2가지 원인중의 하나 일 것이다. (이 문제에 대한 검토 방법은 다음 편에서.....) 현재 문제를 유발시킨 원인이 무엇인지를 찾아 내는 방법으로 DATA의 .. 품질경영의 이해7(품질문제해결절차2-쥬란) 전편에서 품질문제 해결을 위해 자주관리 상태를 만드는 것과 자주관리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핵심적인 요소라고 했다 1.자주관리 상태 제공....관리자 통제 2.자주관리 상태 유지....작업자 통제 이 두가지를 행하는 데 있어서도 진단과 처방의 단계로 진행시켜가야 한다. 특히 이중에서도 중요한 것은 진단의 과정이라고 하겠다. 진단이란 근원적 원인을 찾아 내는 과정이다. 이 원인을 쉽게 찾아 낼 수도 있고 CT촬영과 같이 아주 어려운 진단의 도구가 필요 할 수도 있다. 어떻게 했던 중요한 것은 근원적 원인을 찾아 내는 것이고, 이 원인을 찾아내는 과정이 우리가 갖추어야 할 경쟁력의 핵심이 아닌가 한다. 나는 우리의 경쟁력은 불량에 있다고 말한다. 발생한 불량으로부터 주요한 정보를 찾아내는 조직은 .. 품질경영의 이해6(품질문제해결절차1-쥬란) 품질경영을 기능적 요소로 분류해 본다면 품질계획, 품질관리, 품질개선으로 구분 할 수 있다. 앞에서 품질관리에 대한 일반적 정의에 대해 논해봤다. 다음으로 필요 한 것은 새로운 수준으로의 변화가 필요한데 이것을 개선이라고 정의 할 수 있다. 이 처럼 어떤 조직이든 생존을 위해서는 관리와 개선이 필연적이다. 이는 자전거의 두바퀴와 같이 같이 회전 할 수 있을 때 넘어지지 않고 나아갈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현상을 타파하는 것을 개선이라고 한다. 이러한 현상타파를 위한 품질문제 해결절차를 쥬란박사의 논리적 접근 방법을 요약 해본다. 쥬란 박사는 문제 해결절차를 아래와 같이 정의 했다 1. 필요성의 증명 2. 프로젝트 설정 3. 프로젝트 추진조직의 구성 4. 프로젝트 증세분석 5. 프로젝트 진단 6. 프로젝..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