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FMEA작성 (2) 썸네일형 리스트형 FMEA6(PFMEA작성) 앞에서 공정흐름도에서 특성을 어떻게 규정하느냐가 중요하다고 했다. 물론 특성을 체계적으로 규정하는 방법으로 특성 매트릭스 혹은 제품기능전개(QFD)등을 이용 할 수 있다 하지만 핵심적으로 중요한 것은 5WHY와 같은 구조로 원인의 구조를 체계화 할 수 있는 것이다라고하는 것을 꼭 명심하기를 바란다. 오늘은 FMEA에서 중요한 정보의 연결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하자. 1.공정명 : 공정흐름도에서 정의한 데로 규정한다. 예) 떡만드는 공장에 쌀보관 공정이라고 보자. 2.공정기능/요구사항 - 기본적인것은 공정흐름도에서 정의한 공정별 제품특성이다. - 공정이 갖고 있는 기본적인 목적 혹은 기능을 정의한다 예) 보관 공정의 요구사항은 변질의 방지이다. 변질의 형태는.... 3.고장형태 - 공정에서 발생 할 수 .. FMEA5(PFMEA작성) PFMEA 작성을 위해 아주 구체적으로 설명이 여기서는 어렵지만 구체적인 것은 첨부에 두고 개략적 사고라도 도움이 될수 있도록 정리 해보자. 1.공정 흐름도 작성. - 공정흐름도의 내용은 다들 잘 알고 있을 것이다. 공정의 순서, 명칭과 내,외작이 결정되고, 설비의 명칭이 구체화 되어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수입검사에서 부터 출하(운반)의 전공정에 걸쳐서 조사하여야 하는 것과 검사공정에서 부적합이 발생시 어떤 흐름으로 가야 하는지를 구체화 하는 것도 중요하다. (보통 누락의 경우가 많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공정별 제품특성과 공정특성을 구체화 시키는 일이다. 공정별 제품특성을 알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DFMEA작성시 조사된 고장원인을 기준으로 하여 작성되어야 하는 데, 문제는 설계책임이 ..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