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원인 (4) 썸네일형 리스트형 SPC 초보적 이해6(공정능력) 공정능력(Capability of Process)이란 무엇인가? 우선 그 정의를 살펴보기로 하자. - 공정의 품질 달성능력이다. (어휘상의 정의) - 공정이 최상의 조건을 이룰 때, 즉 관리상태일 때 제품 각각의 변동이 어느 정도인가를 나타내는 양 이다. (Juran) - 의미있는 원인이 제거 혹은 적어도 최소화된 상황에서 공정 최선의 성과를 의미한다. (E.G. Kirkpatrick) - 일정한 요인에 의해 정상적인 안정조건에서 그 공정의 품질상 달성능력이다. (A.V. Feigenbaum) 위의 정의를 종합해 보면 해당공정이 달성할 수 있는 최선의 능력을 의미 한다고 할 수 있다. 이를 흔히 단기능력이라고도 하는 데.. 이를 정확하게 이해 할 필요가 있는 것같다..... 어느 학생의 시험 성적이 반에.. SPC 초보적 이해4(관리와 관리도) 이제 관리라고 하는 단어를 현장의 품질적 관점에서 구체화 시켜본다면 제품특성에 문제를 일으키는 이상원인이 발생하였는가를 찾아내어서 이상원인을 제거함으로서 공정을 안정되게 하는 활동(4M의 변동을 예방함으로서)이라고 말 할 수 있을 것같다. 이를 우리는 공정을 관리상태에 둔다고 말하기도 한다..... 이상원인에 의한 공정변동이 발생하였음을 어떻게 알 것인가.......... 이것이 핵심의 문제다....... 우리몸에 이상이 발생했음을 가장 간단하게 알아내는 방법 중에 체온을 재는 방법이 있다. 가장 정상적 체온은 36.5도 이지만 활동 할 때, 휴식 할 때, 자고 있을 때...... 체온이 다르게 측정 될것이다, 많은 데이타를 모아 본다면 분명 36.5도를 중심으로 해서 정규분포의 모습을 그릴 것이다. 체.. SPC 초보적 이해3(관리와 관리도) "관리란 무엇인가" 너무도 많이 들어오는 얘기다. 그기다가 품질 관리라고 하는 얘기는 상투적이라고 할 만큼 흔한 얘기임이 분명하다. 하지만 문제는 이러한 질문을 했을 � 이를 명확하게 답할 수 있는 우리 관리자가 별로 없다라고 하는 게 또 우리의 수준임이 분명한 것 같다. 관리의 의미를 정확하게 알고 그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실천해나가는 것이 현재 우리 자동차 부품회사들이 만들어 가야 할 가장 시급하면 서도 중요한 숙제가 아닌가 생각한다. 일본 자동차 회사의 경쟁력은 어디에서 오는가 라고 하는 재밌는 얘기를 들은적이 있다. 그 얘기의 결론은 일본이 세계에서 가장 관리를 잘하는 사람들이고, 실제 제조의 현장에서 그게 실현되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우리 제조현장에서 작업표준이 유효하게 사용되어지고 있는가"라는.. SPC 초보적 이해2(이상원인, 우연원인) 도대체 이상원인이 혹은 우연원인이 무엇이란 말인가..... 품질공부 초기에 한 동안 나의 뇌리 속에 답을 구하지 못하고 맴돌던 아주 중요한 단어였다. 이상원인이란 이상한 원인일것 같고, 우연원인은 우연한 원인이라 말인가? 내가 생각하기에 최초로 이름을 붙힌 누군가가 참으로 대단하다는 생각이든다. 일본에서 명명한 것 같지만... 이상함과 우연함 그의 차이는 도대체 무엇이란 말인가. 영어로 이상원인은 special cause 이고 우연원인은 common cause이다. 많은 사람이 혼돈을 가지고 있는 단어이나 영어 원본을 보면 이해가 상당히 될 것이라고 생각들기도 한다... 어느 것이나 다 비슷한 용어인 것 같은데 어떤 원인이던 그게 뭐 그리 중요하단 말인가. 오늘 아침 출근길에 오랜만에 친구를 만나 얘기 ..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