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인배치 (1) 썸네일형 리스트형 품질개선8(원인조사2) 앞에서 특성요인도를 이용한 추정원인을 조사하는 방법을 정리했다. 여기에서 추정원인으로 선정된 인자들이 정말로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 인자인지 조사해야 한다. 통계적으로 볼 때는 추정과 검정이라고 과정에서 밝히기도 하겠지만 분명하게 원인을 규명하는 것이 가장 중요 한것이다. 이부분이 진단의 핵심이고 여러가지 수단을 이용해 검정해가는 데 크게 보면 3가지로 볼 수있다 1. 이미 수집된 자료를 이용한다. 1) 이미 밝혀져있는 기술자료 2) 과거의 기록 데이타 3) 벤치마킹 혹은 경험 2. 현작업과 공정에 대한 연구 1) 투입요소와 산출요소의 연관성의 확인 - 주로 산점도와 같은 방법으로 충분히 검증이 가능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어지는 검증도구이므로 활용방법을 공부하면 좋겠다 2) 시간대별 프로..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