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도요타 렉서스

(2)
SPC 초보적 이해1(왜 통계가 필요한가) 지난번 공정관리 얘기에서 공정능력이 우선인지 관리도가 우선인지에 대해 검토를 했다. 다시 좀 원점으로 돌아와서 SPC에 대해 논해 볼 필요가 있다. SPC란 공정관리를 통계적으로 하자는 얘기이다. 품질은 공정에서 만들어진다는 것은 이제 누구나 다 알고 있는 상식일 것이다. 다시 말해서 특히 자동차는 장기 신뢰성이 아주 중요한 품질특성이다. 왜냐하면 자동차의 사용 환경은 다른 제품과는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외부로 부터 항상 STRESS를 받고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STRESS로 부터 시스템이 혹은 구성품이 품질에 문제를 야기 시키지만 가장 근원적인 원인은 구성부품이 처음부터 잘못되었던지, 아니면 STRESS로 부터 변형이 되었던지하는 문제 일것이다. 앞에서 품질의 문제를 말했지만 이 문제는 부품의 문제..
품질혁신과 기업경쟁력 강화 품질혁신은 오늘날 초우량기업의 전제조건이다. 미국의 경우 말콤볼드리지 국가품질상을 수상한 기업의 주가상승률은 S&P 500대 기업의 주가상승률보다 2~3배 높은 것으로 조사된 바 있다. 또한 최근에 발표된 다른 연구에 의하면 모기업이나 민간단체에서 수여하는 어떠한 형태의 품질상이라도 받은 기업은 (수상 전 1년부터 수상 후 4년까지) 5년동안의 주가상승률이 경쟁기업보다 50%이상 더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것은 품질혁신이 기업의 경쟁력 강화에 실질적으로 크게 기여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단적인 증거이다. 1. 품질혁신이 기업경쟁력에 미치는 영향 품질혁신이 기업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은 다양한 이론과 모형에 의해 설명될 수 있으나, 그 핵심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은 2가지 사항으로 집약할 수 있다. ⑴품질비용: ..